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연구윤리 측면에서 연구재현성에 대한 논란과 대응

  • 등록일2021-11-05
  • 조회수3438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1-11-02
  • 출처
    BRIC
  • 원문링크
  • 키워드
    #연구윤리#연구재현성#세포생물학회
  • 첨부파일


연구윤리 측면에서 연구재현성에 대한 논란과 대응


◈목차


요약문
1. 서론
2. 본론
 2.1 현대과학과 연구재현성 그리고 연구윤리
 2.2. 연구재현성과 연구반복성의 차이
 2.3. 연구재현성에 대한 과학자들의 설문조사 결과-1): 2016 년 『네이처』 1,576 명 대상
 2.4. 연구재현성에 대한 과학자들의 설문조사 결과-2): 2014년 미국 세포생물학회(ASCB) 868명 대상
 2.5. 네덜란드 과학자 연구윤리 실태조사
 2.6. 연구재현성 부족한 논문이 더욱 주목받는 이유
 2.7. 현대과학에서 연구재현성이 위기를 맞은 이유
 2.8. 코로나 19 와 연구재현성 그리고 연구윤리
 2.9. 연구재현성을 위한 가이드라인
3. 결론
4. 참고문헌 및 사이트



◈본문


요약문
현대과학은 표준화와 디지털화라는 두 개의 축으로 발전해왔다. 연구설계부터 과학저널의 논문출판은 대부분의 실험들이 따라야 할 연구단계이다. 특히 디지털화는 데이터 생성과 분석으로 연구결과를 수치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데이터를 일부러 누락하거나 조작하는 등 의심스러운 연구관행과 연구부정은 끊이지 않고 있다. 연구재현성은 연구반복성을 포괄하며 양질의 연구를 위한 투명한 조건이다. 연구재현성은 실험·관찰연구에 의한 결과는 다른 연구자가 같은 방법으로 연구과정을 시도했을 때 측정 값과 측정 결과가 거의 같아야 함을 의미한다. 연구재현성은 연구진실성을 추구한다. 연구재현성을 좀 더 세부화하면 분석적, 직접적, 체계적, 개념적 연구재현성으로 나눌 수 있다. 연구재현성의 핵심 요소들로는 연구 목표, 연구설계의 특징, 연구 대상, 측정 수단, 측정 조건 등이 있다.
 
과학연구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재현성에 대한 설문조사에서 대다수는 위기가 있다고 답했다. 이 때문에 연구재현성을 위한 절차 마련에 노력하고 있으나 여전히 3분의 1 가량은 관련 방침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 연구재현성 위기를 초래하는 원인은 논문출판 압박이 주 원인이다. 승진과 실적을 위해 논문출판에 유리하도록 데이터를 누락하거나 선별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부족한 통계법과 분석 기술 및 연구자원, 불충분한 동료 검토와 교육 등도 원인이다.
 
네덜란드 과학 연구자에 대한 대대적인 실태조사 결과, 의심스러운 연구관행에 자주 참여했다는 답이 51%였다. 한편, 연구재현성이 부족한 논문은 언론이나 다른 연구자들로부터 더욱 주목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연구재현이 가능한 논문보다 불가능한 논문이 훨씬 더 자주 인용됐다.
 
연구재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대안으로 연구설계안을 사전 검토하거나 동료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가 가능한 연구문화를 마련하자는 의견이 제시된다. 특히 통계법과 연구윤리교육으로 논문출판 후 뿐만 아니라 사전에 연구재현성 확보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