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재단 R&D 사업 및 BK21 사업 논문성과 통합 분석

  • 등록일2021-11-18
  • 조회수3333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1-11-15
  • 출처
    한국연구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재단 R&D 사업# BK21 사업#SCI 논문
  • 첨부파일


[NRF ISSUE REPORT-2021-21]

재단 R&D 사업 및 BK21 사업 논문성과 통합 분석


◈목차


Ⅰ. 서론
Ⅱ. SCI 논문 성과 통합 분석 개요
Ⅲ. SCI 논문 성과 통합 분석 결과
Ⅳ. 시사점 및 제언
참고문헌
부록



◈본문


요 약 문
□ 분석 배경 및 목적
ㅇ 정부 R&D 및 재단 예산의 지속적 증가에 따라 투자 대비 효과의 체계적 분석 중요도 증가
ㅇ 일반 R&D사업 위주의 성과분석으로 인해 재단 전체 통합성과 파악 및 분석 부재
ㅇ R&D사업과 BK21사업의 SCI 논문 성과 통합 분석을 통해 재단 지원 학술적 성과 파악
 
□ 분석 범위
ㅇ 2014년 ~ 2019년(6년) 재단 지원 R&D사업 및 BK21사업 SCI 논문 성과
 
□ 분석 결과
ㅇ 통합 SCI 논문 성과
- 재단 지원 SCI 논문 성과는 국가 전체 SCI 논문의 5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R&D사업만 분석했을 때 대비 재단 성과가 14%p 추가 파악되어 국내 논문 성과의 양적인
측면에 크게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함
ㅇ 질적 경쟁력 관점의 SCI 논문 통합 분석
- 국가 평균 IF 대비 재단 평균 IF는 16% 높게 나타나며 피인용 상위 1% 논문과 NSP
정규논문이 각각 국가 전체의 53%, 59%를 차지하여, 재단 지원 사업이 국가 기초연구의
질적 우수성을 주도적으로 견인하고 있음을 시사함
ㅇ 투자 대비 효과성 관점의 SCI 논문 통합 분석
- 연구개발비 대비 SCI 성과는 국가 기초연구보다 재단이 약 2배 우수하여, 투자 대비 효과
측면에서도 재단의 연구지원이 보다 효율적으로 투자되고 있음을 파악함
 
□ 시사점 및 제언
ㅇ 공통 성과 항목 발굴 및 표준화와 통합 정보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제기함
ㅇ 통합 성과를 위한 성과관리 컨트롤 타워의 위상 강화의 필요성이 강조됨
ㅇ 주기적인 성과 측정 및 인사이트 도출을 통해 지속적인 성과 관리 체계 구축을 제언함
 
1. 추진 배경
정부의 R&D 예산 규모는 과학기술에 대한 정부 투자 규모를 파악할 수 있는 지표이다. 과학기술, 지식, 정보 등이 국가성장을 견인하는 지식기반 사회에서 R&D의 중요성은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으며, 이러한 시대의 흐름과 함께 최근년도 정부 지원 R&D 예산도 매년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2021년 정부 R&D 예산 규모는 27조 4000억 원으로, 직전년도인 2020년과 대비하여 무려 13.2% 증가하였다. 중기재정계획에 따르면 2023년에는 R&D 예산 규모가 30조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한국연구재단 예산은 2014년 대비 2021년 105% 증가하여, 동 기간 정부 R&D 예산이 54%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더욱 가파르게 예산이 증가하고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