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골관절염 병인 기초연구_기초연구본부 선정 R&D 이슈 연구동향

  • 등록일2021-11-22
  • 조회수3918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1-11-15
  • 출처
    한국연구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골관절염#퇴행성관절염#연골
  • 첨부파일
    • pdf NRF R&D Brief-2021-22-골관절염 병인 기초연구_기초연구본부 선... (다운로드 336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NRF R&D Brief-2021-22]

골관절염 병인 기초연구


◈목차


1. 골관절염(퇴행성관절염)이란?
2. 왜 주목받고 있나?
3. 최근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나?
4. 최근 국내·외 연구 동향은?
5. 기초연구사업 지원 현황은?
6. 향후 기초연구사업에서 어떤 연구들이 필요한가?
7.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향후 중점적으로 추진하여야 할 연구주제는?
참 고 자 료



◈본문


1. 골관절염(퇴행성관절염)이란?
ㅇ 골관절염(퇴행성관절염, osteoarthritis)은 관절을 구성하는 연골조직이 점진적이고 비가역적으로 파괴되어 일상생활의 장애를 유발하여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대표적 퇴행성 질환임. 
☞ 관절 내 연골조직은 뼈의 말단을 둘러싸고 있는 특수한 조직으로, 관절에 주어지는 기계적 힘에대한 완충작용을 함으로써 마찰을 줄여 관절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해주는 조직임. 
☞ 골관절염은 관절 연골조직의 파괴와 더불어, 뼈의 구조적 변화, 염증반응 및 관절통증 등을 수반하는 질병임. 
☞ 골관절염의 유발원인으로 노화가 가장 대표적 요인이며 그 외 유전적 요인, 비만, 외상 등 물리적인 요인 등의 다양한 원인에 의해 유발됨. 
※ 출처 : 퇴행성관절염의 원인 밝혀냈다(사이언스타임즈, 2010.5.24.)
 
2. 왜 주목받고 있나?
ㅇ 인구의 급속한 고령화에 따른 골관절염 환자의 지속적 증가와 이로 인한 사회경제적 고비용 초래 – 골관절염 제어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 필요
☞ 70세 이상 인구에서 여성의 약 1/2과 남성의 1/4이 골관절염을 앓고 있어 노령화 사회에서 건강한 노화를 방해하는 큰 사회·경제적 문제가 되고 있음. 
☞ 그동안 골관절염은 단순히 노화에 따라 연골이 닳아 없어지는 질병으로 인식되어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지 못했고, 따라서 근본적인 병인 기전이 규명되지 않아 적절한 예방 및 치료법이 개발되지 못함. 
∙ 인공관절 수술(슬관절전치환술)이나 항염증제 등의 대증적 요법만 시행되고 있는 실정임. 
☞ 최근 연골조직의 퇴행은 복합적인 분자적 메커니즘에 의해 조절되며 , 따라서 골관절염은 제어 가능한 질병이라는 새로운 시각이 형성됨. ∙ 줄기세포를 이용한 파괴된 연골의 재생 등 다양한 치료법이 개발되기 시작함.
∙ 연골퇴행 및 골관절염의 병인 기전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골관절염의 다양한 유발원인이 밝혀지고 있기 때문에, 골관절염의 근본적인 예방 및 치료방법의 개발 가능성이 기대되고 있음. 
※ 출처: 2018, 우수전문가 동향보고서(KOSEN Expert Insight)
           2015, 퇴행성관절염은 어떻게 일어나는가?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3. 최근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나?
ㅇ 골관절염의 근본적인 원인 규명과 제어표적 발굴을 위해, 분자적 유발기전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관련 논문의 출판이 지난 수년간 급증함. 
ㅇ 최근 10년 동안 논문 인용지수(impact factor : IF) 20 이상 논문 중 국내 연구진의 논문이 평균 25%를 차지하고 있음(검색어: 골관절염, 연골세포). 
∙ 국내 연구진이 골관절염의 기초분야 연구를 세계적으로 선도하고 있음을 시사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