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WEF, 합성생물학의 현황에 대한 고찰과 정책 제언

  • 등록일2022-01-20
  • 조회수3800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WEF, 합성생물학의 현황에 대한 고찰과 정책 제언


◈목차


세계경제포럼(WEF)은 합성생물학의 현황을 네 가지 가치 측면에서 고찰하고, 기술의 잠재력을 충분히 활용하고 혜택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정책 제언을 제시하는 보고서 발표(’21.10)*

* Revisiting and Realizing the Promises of Synthetic Biology



◈본문


º 합성생물학은 과학과 공학적 접근법을 활용해 생물학에 기반을 둔 부품, 새로운 기기와 시스템을 설계하는 것은 물론 기존의 자연적인 생물 시스템을 재설계하는 
기술로, 최소 20년 동안 하나의 분야를 새롭게 정의하며 발전해왔음
- 바이오 기반 제품의 제조에 폭넓은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이러한 제품의 응용이 건강과 웰빙, 식품, 산업용 화학품, 바이오 연료 등의 부문에서 무수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
- 반면 합성생물학 기술이 공평하게 분배되었는지, 합성생물학으로 변화한 세계가 우리가 추구하는 가치를 반영하고 있는지는 보다 논의가 필요
º 잠재력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기술의 핵심에 가치를 포함하고 있어야 함을 지적하고, 합성생물학이 공정성, 겸손, 지속가능성, 연대의 가치 구현 및 발전 평가 필요
 

캡처1.png

º 합성생물학이 모든 사람에 혜택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정책 제언을 다음과 같이 제시
 
(1) 모든 참여자의 역량과 자원을 활용하는 합성생물학 정책, 연구와 응용에 대한 국제적 협력을 강화할 것
- 국제적 협력은 기술 인프라, 도구, 플랫폼의 조율 포함
- 적용 범위가 국가를 넘어선 경우*나 사회 경제적인 후속 효과가 서로 다른 국제적 이해당사자에 미치는 경우** 합성생물학의 적용에 대한 특정한 정책 조정이 필요
* 예시) 해양 바이오 복원, 외래 해충을 통제하기 위한 유전자 드라이브
** 예시) 발효 농작물 요건으로 인한 토지 이용 패턴 변화
 
(2) 바이오경제 정책을 수립 및 R&D 지원금 제공 시, 초기부터 다양한 관점 반영 필요
- 공정성, 겸손, 지속가능성, 연대의 가치를 어떻게 기술 자체에 반영할 것인지를 이해하는 데 활용 가능
- 혁신 생태계의 경제적, 비경제적 가치를 측정하고 모델링하는 것에도 도움
 
(3) 공공 및 민간 투자자가 혁신 모델과 전략을 논의하고, 사회 및 환경 이슈에 대응 가능한 정기적인 포럼 제공
- 유엔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현대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가장 심각한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데 합성생물학을 적용하는 노력을 모으는 계기로 활용
 
(4) 국가적, 지역적 정책 이니셔티브에 다양한 이해관계자 의견 반영 필요
- 선도국과 개발 도상국의 영향력을 강화해주는 것은 진정한 글로벌 수준에서의 첨단 합성생물학 전략에 필수적
 
(5) 바이오 경제를 위한 정책과 예산 제도 설계 시 합성생물학의 개발과 보급 과정에서 공정성, 지속가능성, 연대 지원 방안 고려
- 금융, 자금 지원, 인정과 보상에 대한 구조적인 프레임워크 제고
- 미래 활동, 프로그램, 투자를 위한 더 포용적이고 확장적인 성공의 척도 요구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