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보건산업정책연구 PERSPECTIVE(Vol.1 No.2)

  • 등록일2022-01-24
  • 조회수3218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1-11-08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디지털 헬스#디지털 전환
  • 첨부파일


보건산업정책연구 PERSPECTIVE


◈목차


디지털 기술의 보건의료 서비스 적용과 거버넌스(김수경)

디지털 헬스 서비스의 활용 효과에 대한 고찰(김지은, 황정민)
디지털 건강 정보의 생성과 활용 체계 구축(신수용)
디지털 건강관리 시스템의 구축 필요성과 전망(홍윤철)
디지털 의료 서비스의 현실과 전망(박준범)
재활 분야의 디지털 헬스 서비스의 활용 효과와 전망(배하석)




◈본문


디지털 기술의 보건의료 서비스 적용과 거버넌스
 

코로나 팬더믹과 디지털 헬스
 
디지털 기술 발전을 보건의료 서비스 체계에 수용하여 기존의 확립된 활동들이 변화되는, 보건의료체계의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은 우리 나라를 위시한 전세계적인 코로나 관리에서 성공적인 사례들을 보여주고 있다.
 
코로나19 팬더믹은 보건의료 분야에 있어서 디지털 기술의 적용을 앞당기고 있으며, 우리 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한국은 팬더믹 초기에 디지털 기술의 수용과 정책 및 보건의료 적용, 즉 조기 감시, 검사, 접촉 추적 및 엄격한 격리를 포함하는 정책 추진을 통해 낮은 사망률을 보인 성공적인 나라로 소개된다. 코로나19 감염 발생의 관리 절차는 기획과 추적(planning and tracking), 감염 선별(screening of infection), 접촉 추적(contact tracing), 격리(quarantine and self-isolation), 임상관리(clinical management)로 구분되며, 이의 적절한 수행을 위해 AI, GPS 추적, 모바일폰 앱 등 관련 디지털 기술들이 적용되었는데 한국은 특히 접촉 추적 부문, 그리고 격리 부분의 대표사례로 소개되었다. 성공적임을 나타내는 지표는 낮은 인구대비 사망률(per capita mortality)이며 이는 분류된 매 단계 적절한 이행을 토대로 하는데 따라서 코로나 감염 확산 관리를 위해 디지털 기술이 적절히 잘 구사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코로나 팬더믹의 관리에서 보는 바와 같이 디지털 헬스는 보건의료 서비스 혹은 체계의 각 영역에 디지털 기술이 적용되는 것이다. 즉, 디지털 기술 발전을 보건의료 서비스 체계에 수용하여 기존의 확립된 활동들이 변화되는, 보건의료체계의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이다. 
 
보건의료 서비스는 기술발전에 따라 이를 수용하며 그 내용과 구조가 변화해왔는데 디지털화는 컴퓨터나 전자의무기록의 사용으로부터 원격 환자 모니터링, 전자의료기기, 그리고 컴퓨터가 지원하는 가시화(visualization) 그리고 의사결정지원체계에 이르기까지 보건의료체계의 구조, 전문성, 치료 과정과 결과 등 여러 측면을 변화시켜왔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