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유럽의 원료의약품 공급망 전략 및 시사점

  • 등록일2022-02-14
  • 조회수3534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1-12-31
  • 출처
    산업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원료의약품#유럽
  • 첨부파일


유럽의 원료의약품 공급망 전략 및 시사점


◈목차


1. 서론

2. 유럽의 원료의약품산업과 공급망 구조
3. 유럽의 원료의약품 공급망 전략
4. 국내 원료의약품산업의 시사점과 과제



◈본문


1. 서론


제약산업은 원가 절감을 이유로 전문성이 낮은 밸류체인 중 특정 단계를 아웃소싱하는 추세이다. 이로 인해 의약품 후보물질 도출, 임상실험(CRO), 개발과 생산(CDMO), 생산(CMO), 유통(CSO)과 같이 특정 단계의 업무를 위탁 수행하는 서비스 시장이 커지고 있는데, 특히 제네릭 의약품의 경우 매출에서 제조원가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에 원료의약품의 제조 아웃소싱 수요와 관련 시장이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다.

최근 들어 특정 수입 국가에 의존도가 높은 원료의약품의 공급망이 마비되면서 세계 각국 정부들은 의약품 공급망을 강화하고 자국 내 필수의약품의 원료의약품 생산능력을 확충하려는 정책을 강구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공급망 취약점을 진단하고 필수의약품의 원료의약품을 우선으로 비상 재고 관리, 공급선 다양화, 리쇼어링 추진, 디지털 공급망 구축 등의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중국은 그간 제네릭 원료의약품 부문에 특화되어 있던 원료의약품산업을 R&D, 제조공정 및 설비의 혁신, 친환경 기술 및 설비 도입, 산업의 집적화 등을 통해 산업 경쟁력을 제고하여 고부가가치 원료의약품 부문에 진출한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유럽의 경우 전통적으로 정밀화학과 제약 부문에서 고급인력과 우수한 R&D 능력을 갖추고 있지만, 다른 나라와 마찬가지로 제네릭 원료의약품의 중국과 인도에 대한 수입의존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유럽연합은 공급망의 취약점과 원인을 분석하고, 공급망을 강화하기 위한 유럽연합 그리고 각 회원국 정부 차원에서의 대책 및 경쟁력 강화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유럽의 원료의약품산업 및 공급망 현황을 살펴보고 유럽 연합의 의약품 공급망 정책 및 산업 전략을 분석하고자 하며,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원료의약품 공급망 및 산업 경쟁력 강화 전략을 모색하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