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우리나라 성인의 헬스리터러시 현황과 시사점
- 등록일2022-02-14
- 조회수3495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1-11-22
-
출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헬스리터러시
- 첨부파일
우리나라 성인의 헬스리터러시 현황과 시사점
◈목차
01. 들어가며
02. 일반적 특성 및 건강 수준에 따른 헬스리터러시
03. 건강정보 탐색 경험과 헬스리터러시
04. 나가며
<참고문헌>
◈본문
01. 들어가며
◆ 건강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를 충족하기 위해 건강과 관련된 많은 정보가 쏟아지고 있음. 그러나 건강정보의 양적 성장이 질적 성장을 보장하지는 않음.
● 많은 사람들이 건강관리와 질병 예방, 치료와 관련한 건강정보를 언론 매체, 인터넷, 의료인, 주위 사람 등을 통해 찾음.
● 언론 매체와 인터넷에서 제공하는 건강정보의 전문성과 신뢰성에 대한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었음.
● 인터넷과 모바일을 통해 제공되는 건강정보가 늘어나고 있으나 일부 취약계층은 여전히 디지털 접근성이 낮아 건강정보의 접근성도 낮아지는 이중 격차가 발생함(Renahy, Parizot, and Chauvin, 2008).
◆ 신종 감염병의 유행과 함께 가짜 정보를 포함한 많은 건강정보가 범람하면서 헬스리터러시(health literacy)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됨.
● 헬스리터러시는 “건강 증진과 유지를 위하여 정보에 접근하고 이를 이해·활용하는 개인의 동기와 능력을 규정하는 인지적·사회적 기술”(Nutbeam, 1998)로 정의됨.
― 헬스리터러시는 단순히 건강정보를 얻거나 이해하는 능력이 아니라 건강정보에 접근하여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고, 정보를 이해하고, 적합한 정보인지 판단하여 건강 관리와 질병 예방, 의료서비스 이용에 활용하는 복합적인 능력임(Sørensen etal., 2012).
― 또한 헬스리터러시는 개인, 가족, 지역사회가 건강을 추구하도록 하고, 시민들이 건강에 대한 권리와 양질의 서비스를 요구하고 집단의 건강 증진을 위한 활동에 참여하도록 함(World Health Organization, 2017).
● 헬스리터러시는 건강행동, 질병 이환, 만성질환 관리, 의료 이용, 사망률 등 다양한 건강 영역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Berkman et al., 2011; Zhang, Terry, and McHorney, 2014).
◆ 헬스리터러시 제고는 건강 증진과 건강형평성 달성을 위한 주요 전략으로, 국제기구와 세계 여러 나라는 헬스리터러시 향상을 보건정책의 주요 의제로 채택하고 있음.
● 노인, 저소득층, 교육 수준이 낮은 사람 등 건강불평등을 겪는 집단의 헬스리터러시가 낮은 경우가 많아 헬스리터러시 격차가 건강 격차로 이어져 건강불평등이 악화될 우려가 있음.
● 세계보건기구(WHO)는 상하이 선언(2016 WHO Shanghai Declaration)을 통해 헬스리터러시를 건강 증진을 위한 주요 전략 중 하나로 규정하고, 취약계층의 헬스리터러시에 관심을 기울일 것을 요청했음.
● 주요 국가는 낮은 헬스리터러시를 보건정책 수행과 국민 건강 증진의 장애물로 보고, 국민들의 헬스리터러시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여러 노력을 하고 있음.
● 그동안 우리나라는 헬스리터러시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부족했으나,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30에 ‘건강정보 이해력 제고’를 대표 과제로 포함하여 국민의 헬스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정책의 첫걸음을 시작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