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인도네시아의 이유있는 바이오연료 활용 정책
- 등록일2022-04-06
- 조회수4327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2-03-11
-
출처
KOTRA
- 원문링크
-
키워드
#KOTRA#인도네시아#바이오연료
인도네시아의 이유있는 바이오연료 활용 정책
◈목차
바이오연료 혼합 정책 배경 및 계획
◈본문
│2022년 바이오디젤 40% 함유된 B40 도입을 앞두고 테스트 예정
인도네시아는 바이오디젤의 원재료인 팜오일 생산량과 수출규모에 있어 세계 1위이다. 생산량의 경우 2015~2021년 연평균 5.6% 성장률를 기록했으며, 2021년에는 4450만 톤을 생산했다. 수출규모에 있어서도 압도적이다. 수출액 기준 인도네시아의 전체 점유율은 50% 이상으로 2020년에는 53.0%를 차지했다.
바이오디젤 원재료의 규모만큼 바이오연료 생산량에 있어서도 인도네시아는 상위 국가에 속한다. 2020년 기준 바이오연료 생산량은 전체 7.5%를 차지하며 미국, 브라질에 이어 3위를 기록했다.
인도네시아는 디젤 차량보다 가솔린(휘발유) 차량의 판매량이 더 많다. 2021년 기준 가솔린 차량 판매량은 70만 대인 반면, 디젤차량은 19만5000대에 불과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솔린을 대체하는 바이오에탄올에 대한 보급은 바이오디젤 대비 현저히 저조하다. 정부의 계획에 따르면 2020년까지 휘발유 연료의 5%는 바이오에탄올를 혼합해 사용해야하나 인도네시아 에탄올협회(ASENDO)는 2012년부터 2017년까지 500㎘의 바이오에탄올만 사용됐으며 2018년 이후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고 한다.
바이오에탄올 개발을 저해하는 요인으로는 바이오에탄올의 주원료인 사탕수수의 가격 때문이다. 높은 사탕수수 가격 때문에 바이오에탄올이 가솔린만큼 비싸 수요가 높지 않다. 또한 2015년 이후 사탕수수 생산이 정체되고 수요 증가로 가격 변동성이 크다.
Q1) 에너지광물자원부에 따르면 올해 2월부터 B40프로그램을 위한 테스트를 진행한다고 하는데 B40 시행 계획이 어떻게 되나요? A1) B40 도입을 위한 테스트는 2월부터 7월까지 예정돼 있으며, 바이오디젤 함량 증가 시 기존 엔진을 사용해도 문제 없는지 등에 대한 엔진 테스트와 도로 주행 테스트가 계획돼 있습니다. 도로 테스트의 경우 5만~6만km를 요구하고 있으며, 테스트 결과를 토대로 정부에서 B40 도입 여부를 검토할 것으로 보입니다. Q2)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자동차로 최근 전기차가 급부상하는데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 A2) 전세계적으로 전기차가 미래 자동차로 많이 언급되고 있지만 전기차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차량 개발에서부터 인프라 확충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입니다. 바이오디젤의 경우 기존 차량을 사용하면서 연료만 친환경적인 연료를 혼합해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느끼는 불편함이나 익숙함 면에서는 아직까지 우위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전기차 및 바이오디젤 사용 차량 모두 기존 화석연료를 대체하고 탄소배출을 줄이고자 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같으므로 장단점을 비교한 후 사용자가 선택해 사용하면 될 것 같습니다. Q3) 바이오연료와 관련해 주요 협력국은 어디이며 한국과의 협력 가능성은 어떻게 되나요? A3) 인도네시아에서 바이오연료 수출 주요 국가로는 중국과 싱가포르 등이 있습니다. 한국과는 협력한 경우가 거의 없으나 정부에서 바이오연료 사용 비중을 점차 늘리고 있기 때문에 관련 산업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향후 다양한 국가와의 협력을 기대합니다. |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암치료용 백신(Therapeutic Cancer Vaccines) 현황과 전망
-
다음글
- 심화하는 기술패권주의 대응을 위한 국가R&D 전략 연구 : 미ㆍ중 기술패권경쟁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