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2021년도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연차보고서(국문)

  • 등록일2022-04-08
  • 조회수3241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2-03-30
  • 출처
    한국과학기술한림원
  • 원문링크
  • 키워드
    #한국과학기술한림원#연차보고서
  • 첨부파일


2021년도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연차보고서(국문)


◈목차

기관현황

 개요
 주요연혁
 회원현황
 조직
 예산 및 인력

사업성과
 정책연구 및 자문
  한림원탁토론회
  한림원의 목소리
  한림석학정책연구
  국가과학난제도전협력지원단
  출판홍보
 인재양성
  한림석학강연
  청소년과학영재사사
  석학, 과학기술을 말하다
  NASA 점자촉각도서(국문판) 발간
 국제교류 및 협력
  국제과학기술기구(아카데미)와의 협력
  국제심포지엄 개최 및 과학기술자 국제교류 지원
  아시아과학한림원연합회(AASSA) 운영
  온라인 특별대담 및 강연 개최
  국제협력 및 네트워크 확대를 위한 정책활동
 시상
  시상사업
 과학기술인 지원
  과학기술유공자 예우 및 지원사업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Y-KAST) 운영
 주요활동
  총회 및 제위원회 개최
  2022년도 정회원 선출
  2022년도 종신회원 선임
  2021년도 인사 및 임원 선출
  기타 기관 운영 성과




◈본문


01. 메타버스, mRNA, 뉴로모픽칩 등 미래과학기술 이슈에 선제적 대응 및 전문가 의견 수렴

글로벌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기업 BAV그룹과 펜실베이니아대 와튼스쿨이 공동으로 조사해 발표한 ‘2021년 전 세계 국력 랭킹(power rankings)’에서 한국은 8위를 차지했다. UN의 원조를 받던 빈곤 국가가 세계에서 여덟 번째로 강한 국가로 성장할 수 있었던 원동력은 과학기술의 발전이었다. 4차 산업혁명 시대는 과학기술이 사회 변화를 선도한다. 미래는 첨단 과학기술이 바탕이 되어야만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한림원은 미래과학기술 이슈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미래가치를 실현할 새로운 플랫폼으로 주목받는 ‘메타버스’, 미래 치료제 혁명을 가져올 ‘mRNA’ 백신과 ‘전달체(LNP)’ 기술, 반도체 업계의 게임체인저로 전망되는 ‘뉴로모픽(Neuromorphic) 칩’ 등을 주제로 토론회와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국내외 석학들을 비롯해 기업인, 정부 부처 관계자, 현장 연구자 등 다양한 과학기술 관계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최신 연구 내용을 발표하고, 미래 연구 방향 등에 대해 밀도 높은 토론을 진행했다. 토론회는 한림원 유튜브 채널을 통해 실시간 중계하는 것은 물론 대화창을 통해 발표자들이 청중의 질문에 답변하며 집단지성의 장을 열었다. 상세보기 34~45쪽, 92~97쪽
 
02. 노벨상 수상자 등 세계 최고 석학들과의 온라인 대담 시리즈 운영
사회공동체의 과학적 소양을 높이고 과학문화가 일상에 스며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소통이 중요하다. 한림원은 미래 과학자를 꿈꾸는 청소년과 대학(원)생 및 관련 분야 연구자 및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흥미로운 과학강연과 특별대담 등을 통해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높이고 과학기술 미래인재 육성을 도모하고 있다.
2021년에는 코로나19 세계적 대유행이 계속됨에 따라 온라인 특별프로그램을 기획하여 노벨상 수상자를 비롯한 세계적인 석학들을 초청해서 주제에 따라 전문가 대담이나 대중강연을 개최했다. 한림원 유튜브 채널 생중계, 사전 질의 접수, 대화창을 통한 질의응답 등을 구성해서 온라인 청중의 대담 참여 비중을 높였다.
2018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도나 스트리클런드 교수와의 대담에는 대학원생과 고등학생이 대담자로 참여해서 진로 고민, 학창시절, 과학교육의 지향점 등 청년층의 눈높이에 맞춘 다양한 주제가 오갔다. 2006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존 매더 박사와의 대담에서는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프로젝트의 수석연구원으로서 30여 년에 걸친 프로젝트 역사를 생생하게 들을 수 있었다. 또 모더나 공동창업자인 로버트 랭거 MIT 교수와 음성 인공지능 분야 권위자인 알랜산더 바이벨 카네기멜론대학교 교수도 국내 전문가들과 전문분야에 대한 대담을 진행했다. 상세보기 105~108쪽

03. 국제과학기술계 정책 제안 선도
2021년 6월 1일 한림원이 최초로 발의한 IAP 공식 성명서인 ‘해양환경보호(Protection of Marine Environments) 성명서’가 전 세계 한림원 및 과학기술 관련 국제기구에 동시 공표됐다. 성명서는 바다의 온전성을 되찾기 위한 다섯 가지 해결과제로 
해양 건강성 악화·서식지 파괴·환경오염물질·기후변화·남획을 제시한다. IAP는 성명서를 통해 각국 정부, 시민단체, 회원국 한림원에 해양환경 보호를 위한 적극적인 해결책 마련과 국제기구 간 협력을 촉구했다. 
성명서에는 미국, 영국, 독일 등 75개 해외한림원이 참여기관으로 서명했으며,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시민환경연구소, 서울대학교 등 국내 46개 기관이 지지를 표명했다. 해양보존 및 보호의 중요성을 전 세계에 일깨우는 역할을 한국이 주도함으로써 국제 과학기술계에서 한국의 위상을 높이는 성과를 얻었다. 상세보기 86쪽
 
04. 국제과학교류협력 및 네트워크 확대를 위한 정책 비전 제시
전 세계적으로 두각을 나타내는 국내 과학기술인의 업적을 널리 알리는 것은 한림원의 주요 설립 목적 중 하나이다. 국내 기초연구성과의 인지도를 효율적으로 높이기 위해서는 현재 기관별로 추진 중인 국제 과학기술 교류사업을 점검하여 일관성 있는 
목표 및 방향을 설정해야 한다. 국내 우수한 과학자들이 국제적으로 저명한 학회에 초청되고, 주요 국제 학술행사에서 기조강연 등을 할 수 있도록 집중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한림원 회원들은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과 간담회를 갖고 국제 과학기술계에 우리나라 우수한 과학자들을 알릴 수 있는 방안을 논의했다. 또 한림원은 다양한 국제교류를 체계적으로 추진하는 ‘(가칭)과학외교지원센터 설립 및 활용 방안 연구’를 주제로 정책과제를 수행했으며, 국내 과학기술인의 세계적 연구자 도약을 위해 적극적인 국제교류협력사업을 추진 중이다. 상세보기 110~111쪽
 
05. 과기계 주요 이슈에 전문기관과 공동 대응
한림원은 과학적 사실에 근거한 코로나19 정보 전달을 위해 과총·의학한림원과 함께 방역 전문가들이 참여한 COVID-19공동토론회를 지속적으로 개최했다. 팬데믹 양상이나 방역 정책 추진에 맞춘 시의성 강한 토론회를 열어 국민이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코로나19 정보 플랫폼을 제공했다.
또한 각계각층의 전문가로 구성된 복합적 포럼을 운영하며 사회 전반의 이슈 발굴과 실효성 높은 대응전략에 앞장섰다. 과총·한국뇌연구원과 함께 비대면 환경이 유발하는 다양한 정서 질환 양상을 분석하고, 국민 건강증진을 모색했다. 2022년 교육과정 개정을 앞두고 교육·산업·국회·정부·언론을 대표하는 전문가들을 한자리에 모아 정보교육 과정을 점검했다. 우수한 과학기술 인재가 절실한 상황에서 전문연구요원제도는 폐지가 아닌 개선과 보완이 필요한 제도임을 강조했다. 상세보기 44~45쪽
 
06. 포스트코로나시대에 맞는 사업운영 진행
한림원은 온라인 홍보 채널 운영을 통해 과학기술계는 물론 일반 대중과 활발한 소통을 추구한다. 2017년에 개설한 한림원 유튜브 채널은 최신 과학기술에 대한 신뢰성 있는 정보, 국내외 석학들의 강연과 대담, 일반 대중이 쉽게 즐길 수 있는 대중
친화적 콘텐츠 등을 꾸준히 게재하며 입소문을 탔다. 2020년 3월 150명이었던 유튜브 구독자 수는 2021년 12월 1만 6,000명을 돌파하며 가파르게 성장했다.
한림원은 온라인 청중의 실시간 토론 참여, 노벨상 수상자와의 대담, 노벨상 수상업적 해설강연 시리즈 등 다양한 사회 구성원이 소통하고 즐길 수 있는 창의적 과학문화 콘텐츠를 모색하며 앎의 지평을 넓힐 계획이다. 상세보기 62~63쪽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