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우리에게도 보건의료 난제 해결을 위한 ARPA-H가 필요한가?
- 등록일2022-05-11
- 조회수3494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2-04-26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ARPA-H#보건의료#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첨부파일
우리에게도 보건의료 난제 해결을 위한 ARPA-H가 필요한가?
-보건의료 R&D 대국민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목차
Ⅰ. 미국 ARPA-H의 탄생
Ⅱ. 설문조사 결과
Ⅲ. 시사점
◈본문
Ⅰ. 미국 ARPA-H의 탄생
1. DARPA형 혁신
◉ (개요) DARPA (Defense 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 방위고등연구계획국)는 국가 안보를 위한 혁신 기술 투자를 위해 1958년 설립된 미국 국방성 산하 전문기관
- 구 소련의 기술적 성취를 보여주는 스푸트니크 발사를 계기로 적국의 국방 기술에 뒤쳐질 수 있다는 위기의식에 기반하여 설립
*명칭 변화: ARPA (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 1958) → DARPA(1972) → ARPA(1993) → DARPA(1996)
◉ (미션) "국가 안보를 위한 혁신기술에 중추적 투자를 한다"
"to make pivotal investments in breakthrough technologies of national security"
-인터넷, GPS, 로봇 등 실패 가능성이 높지만, 개발 성공 시 사회적 파급 효과가 큰 기술과 혁신을 선도
-2013년 당시 직원이 3명에 불과했던 mRNA 플랫폼 기반 백신 개발 기업 모더나를 지원, 코로나19 백신 개발 성공에 기여
◉ (예산) 국방부 과학기술 예산의 21~25% ('21년도 기준 35억 달러, 약 4조 1,400억원)
◉ (지원 영역) 국가 전략 또는 산업 경쟁력 차원에서 아주 중요하지만 개발 실패의 위험성도 커 대학, 기업 등 민간 연구 조직에서 다루기 힘든, DARPA만이 다룰 수 있는 주제(DARPA hard-niche)
그림1. DARPA hard-niche
① High Risk and High Pay-off: 성공할 경우 획기적인 수혜를 기대할 수 있지만 기술적인 실패의 위험도 큼
② Innovative Idea: 과제 해결을 위한 혁신적 아이디어. 근본적인 개념의 변화를 불러올 수 있는 발상
③ Bridging the Gap Between Fundamental Research and Short-term Use: 장기성 연구인 기초 연구와 근시일 내에 발생할 수 있는 수요 간 간극을 좁힐 수 있는 가교적 성격의 기술
[DARPA 주요 특징]
• (도전정신) DARPA 60년은 'High Risk, High Payoff 연구', '세상을 바꿀만한 첨단 혁신'에 대한 일관된 도전의 역사
- 국가 경쟁력 강하에 큰 영향을 끼치는 동시에 실패 위험성이 큰 연구만을 지원하고 다양한 분야에 속한 관료, 민간 전문가 등의 의견 수렴
• (독립성) 기관의 독립성을 매우 중시하고, 국방부 고위층에 직접 보고하는 체계 구축
- 프로그램의 선정 및 운영 상 부여된 독립성은 DARPA가 신속한 의사결정과 과감한 위험 수용 및 최고 인재의 영입에 중요한 원천
• (역량) 강력한 독립성 외부의 다양한 인재 중 연구 프로젝트 매니저(PM)를 선정하며 PM에게 큰 재량권* 부여하여 창의력과 혁신성 강조
* 과제 기획, 연구자금 조정과 제공 및 연구수행 평가 관리 등 전 과정
- PM은 재계약을 맺지 않는 4~5년 임기의 계약직으로 구성하여 신선한 사고와 새로운 관점을 지속적으로 수용하고자 노력
- 추가적인 투자 정당성을 성과에서 찾을 수 없는 프로젝트는 적극적으로 종료
- 국가 경쟁력 강화에 큰 영향을 끼치는 동시에 실패 위험성이 큰 프로젝트를 지원하기 때문에 한시성을 통해 확실한 프로젝트로 빠르게 예산과 인력을 투입할 수 있도록 운영
• DARPA 모델은 에너지부, 국토안보부, 교육부, 국가정보국장실(ODNI) 등 미국의 다수 부처와 Google 등 민간 기업에서 도입하였으며, 프랑스의 마크 롱 대통령은 DARPA같은 기관을 EU에 설치할 것을 주장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