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코로나19 대비·대응 수리모델을 통한 방역정책의 효과분석 및 국가적 과제 도출에 관한 연구
- 등록일2022-05-25
- 조회수4277
- 분류정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2-05-18
-
출처
한국연구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한국연구재단#코로나19#방역정책
- 첨부파일
코로나19 대비·대응 수리모델을 통한 방역정책의 효과분석 및 국가적 과제 도출에 관한 연구
◈목차
제1장 코로나19 수리모델을 이용한 방역정책의 효과 분석과 정책연구의 목표 및 필요성
제2장 국내 수리모델 기반 코로나19 유행예측 및 방역정책 효과 분석 현황
제3장 국외 수리모델 기반 목적별 코로나19 유행예측 및 방역정책의 효과 분석 현황
제4장 국가정책용 감염병 대응 수리모델 기반 R&D를 위한 정책 제언
◈본문
요약문
I. 제목
코로나19 대비·대응 수리모델을 통한 방역정책의 효과 분석 및 국가적 과제 도출에 관한 연구
II. 연구개발의 목표 및 필요성
본 연구의 목표는 다음과 같음
◆ 국내외 코로나19 대비·대응 수리모델링 분석을 통하여 정부 방역정책 효과 분석
◆ 향후 발생할 수 있는 감염병 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수리모델 기반 감염병 확산 대응 국가정책용 R&D 정책 제언과 감염병 수리모델링 고급인력 양성 방안 마련
ㅇ 국제적으로 수리/통계/확률/AI 기반 모델이 감염병의 신규 예측에 도입되고, 각종 감염병 확산에 따른 정부 정책분석에 효과적으로 활용 가능함이 미국, 영국, 이 탈리아, 일본, 캐나다 등 선진국 일선에서 이미 입증되고 있음
ㅇ 국제적으로 코로나19와 변이 코로나 바이러스와 같은 신변종 감염병 유행기간 동안 유행예측뿐만 아니라 사회적 거리두기 혹은 lockdown 효과 분석, 중증환자 수와 의료비축량 예측, 그리고 백신전략 분석을 위해 수리모델이 활용되어 선제 적인 방역정책 수행의 과학적 근거 마련
ㅇ 사회·경제적 비용의 최소화를 위한 과학적 증거 기반의 중재 정책에 대한 필요성 은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으며,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하여 다양한 분야의 과 학자들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음. 특히, 국내외적으로 수리모델 기반 감염병 유행 예측에 대한 다학제적 연구가 활발한 상황임
ㅇ 국내에서도 과학적 근거에 의한 코로나19 방역 대책 수립을 위해 감염병 예측/ 확산 수리모델링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음. 예를 들어, 대한수학회와 국가수 리과학연구소 주관 코로나19 수리모델링 TF팀에서 매주 주간 확진자, 사망자 등 코로나19 유행예측 결과에 대한 자료를 질병관리청에 제공하고 있음
ㅇ 코로나19 혹은 변이 코로나바이러스 감염병과 같은 신·변종 감염병이 도래했을 때 선제적이고 효과적인 수리모델링 결과를 방역정책에 시의적절하게 제시하기 위해서는, 국내외 신·변종 감염병(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로 국한함) 수리모델 연구를 선행 조사하고 정부 방역정책 유용성 등을 수리모델로 분석하여 우리나 라에 맞는 감염병 대비·대응 수리모델 정책과제를 선 발굴하는 것이 필요함
ㅇ 정부 감염병 방역정책에 필요한 연구 혹은 국제적으로 선도하는 감염병 수리모 델링 연구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국내외의 감염병 수리모델링 연구결과를 수 집 분석하여 우리나라 상황에 맞는 단기 혹은 중장기 감염병 수리모델링 국가 R&D 과제 발굴로 연구자들의 도전적이고 안정적인 연구를 위한 연구환경이 반드시 필요함
III.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제 1장은 코로나19 수리모델을 이용한 방역정책의 효과 분석과 정책연구의 목표 및 필요성
제 2장은 국내 코로나19 수리모델링 기반 유행예측 및 방역정책 효과분석 연구 현황을 조사함
ㅇ 국내의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와 백신에 대한 방역정책, 활용 가능한 데이터 현황 분석
ㅇ 코로나19 수리모델링 연구기관 조사
ㅇ 수리모델 기반 코로나19 연구 분석: 유행예측, 사회적 거리두기 혹은 백신에 대한 방역효과
ㅇ 수리모델 기반 코로나19연구(페이퍼 자문)와 코로나19 수리모델링 TF팀 활동
제 3장은 국외 수리모델 기반 목적별 코로나19 유행예측 및 방역정책의 효과 분석 현황
ㅇ 미국, 영국, 이탈리아, 일본의 코로나19 방역정책, 연구기관 현황, 수리모델 기반 목적별 코 로나19 연구분석
ㅇ 독일, 싱가폴의 연구기관 현황 소개
제 4장에서는 국가정책용 감염병 대응 수리모델 기반 R&D를 위한 정책 제언
ㅇ 국내는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 이용하여 연구사업 분석
ㅇ 국외(국, 영국, 일본, 독일)의 연구사업 분석
ㅇ 국내 방역정책과 수리모델링: 정책 결정에 과학적 근거 제시 사례들
ㅇ 국내 감염병 수리/확률/통계/AI 모델링 전문가 R&D 과제 및 인력양성 프로그램 제언
ㅇ 국외 감염병 수리모델링 센터 및 인력양성 프로그램 벤치마킹
ㅇ R&D 과제 및 인력양성 프로그램 정책 제언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
- 산업동향 일본 코로나 등 진단키트 시장 동향 2024-11-25
- 정책동향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접촉추적격리 정책 국제 비교 및 정책 효과 시뮬레이션 연구 2024-08-16
- 제도동향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발생 이후 국가병원체자원은행 병원체자원 분양 현황(2020–2023년) 2024-07-24
- 정책동향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유행 대응 거버넌스 변화와 정책에 관한 고찰 (2020년 1월–2021년 12월) 2024-02-07
- 기술동향 만성 코로나19 증후군(Long COVID)의 증상 및 관련 연구 동향 2024-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