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일반국민은 2022년 정부R&D예산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 등록일2022-06-14
  • 조회수3177
  • 분류정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2-06-07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정부R&D#R&D예산
  • 첨부파일
    • pdf [KISTEP+브리프]+일반국민은+2022년+정부R&D예산에+대해+어떻게+... (다운로드 36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일반국민은 2022년 정부R&D예산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 목차

Ⅰ. 서론

Ⅱ. 정부R&D예산에 대한 기본 인식

Ⅲ. 2022년 정부R&D예산에 대한 인식

Ⅳ. 응답자 특성에 따른 인식 차이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

요 약


■ 서론


• 과학기술의 국가・사회적 역할 확대로 정부연구개발예산에 대한 관심 증가


• 2022년 정부연구개발예산에 대한 일반 국민의 인식을 바탕으로 향후 정부연구개발예산에 대한 시사점 도출 필요


• 2021년 12월 3일부터 12일까지 일반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정부연구개발예산에 대한 기본적인 생각, 2022년 정부연구개발예산의 42개 아젠다의 중요성, 향후 방향성 등 17개 항목에 대한 조사 수행


 정부연구개발예산에 대한 주요 인식


• 정부R&D예산이 국가 운영에 중요하다는 응답자 비율은 87.6%, 정부R&D예산 비중 증가에 동의하는 응답자 비율은 67.2%로 높게 나타남


• 2022년 정부R&D예산 42개 세부아젠다의 중요성에 동의하는 응답 비율은 최대 89.6%에서 최소 71.6%이고, 예산증액 시급성에 대한 동의 비율 또한 최대 86.2%에서 최소 66.5%로 높게 나타남


• 2022년 정부R&D예산의 6대 분야 중 ‘코로나 시대의 국민안전’, ‘미래주력산업 경쟁력 주춧돌’, ‘한국판 뉴딜 2.0 고도화’ 등 3개 분야를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인식


• 성별, 연령, 학력, 전공, 소득, 정치 성향 등 응답자 특성에 따라 정부연구개발예산에 대한 인식 차이가 존재


■ 결론 및 시사점


• 정부연구개발예산 비중의 지속적 확대 필요성 검토 시 근거 강화를 위해 일반국민의 긍정적 인식의 이유와 구체적 수요에 대한 면밀한 분석 필요


• 일반국민이 상대적으로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는 R&D예산에 대한 공감대 형성 및 성과 체감도 향상을 위한 노력 필요


• 국민 특성별 수요 다양성을 고려한 정부R&D예산 배분・조정 강화 필요


※ 본 이슈페이퍼는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의 공식 의견이 아닌 필자의 견해임을 밝힙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