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D.N.A 중심 보건의료 R&D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

  • 등록일2022-06-15
  • 조회수3511
  • 분류정책동향 > 생명 > 보건의료학
  • 자료발간일
    2022-06-08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D.N.A#보건의료 R&D
  • 첨부파일
    • pdf 보건산업브리프 358호_D.N.A 중심 보건의료 R&D 중장기 로드맵 ... (다운로드 34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D.N.A 중심 보건의료 R&D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

 

◈ 목차

⑴ 추진배경
⑵ 추진경과
⑶ 연구내용
⑷ 기대효과
⑸ 결론
 

 

◈본문


I . 추진배경


⊙ 인공지능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의료 패러다임 전환을 촉발하고, 국가 보건의료체계의 미래 경쟁력을 좌우할 것으로 전망


 * 세계경제포럼(WEF)은 빅데이터, AI 기술이 보건의료체계 상호연결성을 증대시키고 구조적 장벽을 허물어, 의료 디지털화를 촉진할 것으로 전망('19년)


⊙ 우수한 K-의료 역량에 AI 등 첨단의료 기술이 접목하면, 의료시스템, 신약개발, 맞춤형 질환관리 등의 질적 고도화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


 * 의료데이터·AI는 의료비 지출 증가, 의료서비스의 불균형, 혁신기술 발굴 등 미래 보건의료 과제 해결에 핵심 대안이 될 것으로 기대


⊙ 정부는 D.N.A 등 ICT 혁신기술 확산을 위한 환경조성에 노력한 반면, 보건의료 특화 기술·서비스의 활용·확산 정책은 상대적 미흡

 ** 보건의료 분야는 여전히 양질의 데이터 부족, AI 설명력·신뢰성 부족 등 기술의 질적 수준이 미흡하고, 의료 AI 기술·서비스의 보급 및 활용 여건이 미성숙


⊙ 글로벌 의료 패러다임 변화에 맞춘 R&D 투자방향 설정을 통해, 미래 의료분야의 국가 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반조성 필요

 * 보건의료 디지털 전환 가속화를 위한 중장기 기술개발 투자방향을 제시함으로써, 국가 차원에서의 핵심기술 확보 및 효율적 예산투자 가능


<로드맵 수립 의의>

<로드맵 수립 의의>


Ⅱ. 추진경과


⊙ ('21.05) 로드맵 수립을 위한 추진체계 구축 및 현안 발굴

 * 의료데이터·AI 관련 국내외 정책/기술/산업 동향 분석

 ** 의료데이터·AI 관련 R&D 투자현황 및 현안 분석


⊙ ('21.07~10) 전문가 기획위원회 구성 및 운영

 - 보건의료 AI 관련 산·학·연·병 전문가로 구성된 총괄위원회 및 기술분과위원회 구성

 *(구성) 총괄위원회 10명, 기술분과위원회 26명 등 총 36명 참여


<총괄·분과 기획위원회의 운영 현황>



- AI 의료서비스, AI 공공의료, AI 첨단의약품 등 3개 기술분과와 이를 구성하는 9개 소분과*를 통해 기술수요조사 등 유망기술 도출

 * (AI 의료서비스) 스마트병원, CDSS, 데이터기반

 ** (AI 공공의료) 감염병, 만성질환, 노인성질환, 정신질환

 *** (AI 첨단의약품) AI신약개발, 스마트임상시험


<로드맵 기술 도출 과정>

<로드맵 기술 도출 과정>


⊙ ('21.10~'22.01) 의료 인공지능 R&D 중장기 로드맵 마련

 * 기술분과위원회(소분 과별 3회)를 통한 후보기술 발굴, 우선순위 평가(AHP 조사) 등을 통해 100대 유망기술 작성 ('21.10~11월)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