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카타르의 장애인 접근성 향상을 위한 노력

  • 등록일2022-06-24
  • 조회수3046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카타르의 장애인 접근성 향상을 위한 노력

 

◈ 목차

접근성(Accessibility)과 배리어 프리(Barrier Free)

장애인 관련 정부 정책

장애인 지원 관련 기관

접근성(Accessibility) - 배리어 프리(Barrier Free) 서비스 및 제품

시사점

 

 

◈본문


│2022 카타르 월드컵 개최 이전 장애인 접근성 향상을 위한 노력 확대

│정부의 주도적인 지원으로 세계 디지털 접근성(Digital Accessibility) 1위 차지



카타르 정부기관 통계자료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전체 장애인 수는 1만 6745명으로 전체 인구(383만 명)의 0.6%를 차지한다. 137개국을 대상으로 한 2020년 세계 디지털 접근 권리 평가 지수에 따르면, 카타르는 장애인을 위한 디지털 접근성 부분에서 세계 1위를 기록했다. 이 성과는 인구대비 장애인 비율이 높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주도적으로 장애인과 취약계층의 평등한 디지털 접근성(Digital Accessibility) 및 배리어 프리(Barrier Free: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를 위해 적극적인 정책 수립과 다양한 편의 서비스 제공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아울러 2021년 카타르는 장애인 및 취약계층이 완전한 월드컵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스포츠 역사상 가장 접근성(accessibility)이 높은 월드컵을 개최할 것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이와 관련 카타르의 월드컵 준비위원회(Supreme Committee for Delivery and Legacy)는 카타르 월드컵 공식 홈페이지 및 모바일 앱 등의 디지털 콘텐츠를 모든 사용자가 어려움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관련 정부기관들과 긴밀하게 협업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장애인들은 카타르 월드컵을 전후로 접근성이 높은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2019년 기준 카타르에 공식 등록 장애인 수>

(단위: 명)

<2019년 기준 카타르에 공식 등록 장애인 수>

[자료: Planning and Statistics Authority (카타르 통계청)]


접근성(Accessibility)과 배리어 프리(Barrier Free)


접근성이란 교통·시설·제품·서비스·디자인·권리·정보통신 등의 환경을 가능한 한 많은 사용자가 불편함없이 이용할 수 있는 정도를 말한다. 이는 장애인도 차별 없이 웹페이지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접근성을 비롯해 이동의 접근성, 금융자산의 접근성 등이 있다. 카타르에서는 최근 디지털 접근성 향상 성과를 통해 다양한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배리어프리란 고령자나 장애인들도 살기 좋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 물리적·제도적 장벽을 허물자는 운동을 뜻한다. 이후 선진국을 중심으로 휠체어를 탄 고령자나 장애인들도 비장애인과 다름 없이 편하게 생활 할 수 있게 하자는 취지에서 주택이나 공공시설을 지을 때 문턱을 없애는 운동을 전개하기도 하였다. 카타르 또한 차별없는 사회 실현을 목표로 제도적 법률적 장벽을 허물기 위해 노력 중이다.



장애인 관련 정부 정책


카타르정부는 법으로 장애인에 대한 차별을 금지하고 있으며 장애인도 사회의 일부를 구성한다는 확고한 신념을 바탕으로 2011년 UN 장애인 권리 협약을 비준했다. 2014년에는 노동부(Ministry of Labor) 내에 고령자 및 장애인과(Department of the Elderly and Persons with Disabilities)를 신설하여 관련 프로그램과 정책을 개발하고 시행해왔으며, 장애인에게 무료 건강 보험을 제공하는 국가 건강 전략을 시행하고 장애인의 건강, 사회 및 가족 문제를 조사하기 위해 장애 의료 위원회(Medical Committee of Disability)를 설립했다.


또한, 카타르 정부는 2004년 발표한 장애인 법률에 조항에 따라 재활, 고용, 교육 및 직업 훈련, 교통, 의료 및 사회 복지, 공공 시설 이용, 재정 지원과 같은 영역의 접근성에 대한 장애인 차별을 엄격히 금지하고 있다. 이 법률 조항은 정부 기관 및 공공기관의 전체 일자리 중 2%를 장애인 고용을 위해 따로 배정할 것을 포함하고 있다. 이는 장애인들의 독립적인 생활을 지원함과 동시에 장애인도 비장애인과 같이 인권 및 기본적인 자유를 동등하게 향유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해 정부가 적극적으로 지원한다.


장애인을 고용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기관은 웹 접근성 향상 정책에 따라 장애인이 웹사이트, 모바일 콘텐츠, 전자통신을 사용하는 모든 방식에 편의를 제공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또한 배리어 프리(Barrier-free)를 위한 장애인 서비스, ATM 및 공공 시설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키오스크 등을 통해 장애인이 비장애인 동료들과 동등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노력 중이다.



장애인 지원 관련 기관


<카타르의 주요 장애인 지원기관>

기관명

기관 소개

Mada - Assistive Technology Center

정보 통신 기술을 통해 장애인에게 동등한 사회 참여 권한을 부여하며, 디지털 접근성 향상을 통해 장애인들이 디지털 환경에 쉽게 연결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Shafallah Center

장애가 있는 어린이들을 지원하기 위해 가족 상담 및 전반적인 교육 서비스(방과후 교육, 직업 훈련)을 제공하며, 장애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높이는 행사를 기획하며 참여한다.

Al Noor Institute for the Blind

시각장애를 가진 4세 이상의 학생에게 적합한 맞춤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4세 미만의 아이들은 돌봄 방문 교육을 제공한다.

Qatar Social and Cultural Center

for the Blind

시각장애인의 능력을 개발하고 다양한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컴퓨터, 영어, 점자, 수공예, 스포츠 등의 교육프로그램 및 교육시설을 제공한다.

Qatari Center of Social Cultural

for the Deaf

국적과 연령에 관계 없이 청각 장애가 있는 모든 개인을 지원하기 위한 기관으로, 교육 및 엔터테인먼트 관련 서비스를 제공한다.

Qatar Society for Rehabilitation

of Special Needs

신체적, 정신적 장애를 겪고 있는 청소년에게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과 인공 팔다리와 같은 의료용 보조 장치를 제공한다.

[자료: 개별 기관 홈페이지


접근성(Accessibility) - 배리어 프리(Barrier Free) 서비스 및 제품


2009년 카타르 중앙 은행(Qatar Central Bank)은 장애인에게 접근 가능한 은행 서비스 제공을 위한 지침을 발표했는데, 이는 시각-청각 장애를 가진 고객들이 오디오 및 점자와 같은 대체 형식으로 중요한 정보를 제시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후 2011년 교통통신부(Ministry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에서 전자 접근성 정책을 발표함으로써 웹사이트 및 모바일 앱, 통신 서비스, ATM 및 공공 액세스 단말기, 보조 기술에 대한 서비스 및 제품 보급 확대에 적극 노력할 것을 언급하며 무엇보다 아랍어로 제작된 디지털 콘텐츠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부의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을 강조했다.


최근 카타르 중앙 은행과 MADA 보조 공학 기술 센터는 파트너십 관계를 맺어 HSBC와 Qatar Islamic Bank에 총 11개의 Accessible ATM 기기를 설치함으로써 장애인 뿐 아니라 노약자도 쉽게 ATM기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접근성 기능이 포함된 ATM기기는 시각장애들이 독립적으로 일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화폐를 읽어주는 스크린 리더 기능과 시각장애인에 알맞은 명암 비율을 제공하여 서비스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설치된 기기의 수가 11대에 불과하기 때문에 앞으로도 계속해서 더욱 발전된 기술이 포함된 ATM 기기가 설치될 것으로 예상된다.


MADA의 ICT 접근성 연구 실장인 Achraf 박사에 따르면, MADA는 앞으로도 카타르의 디지털 접근성 세계 1위 자리를 지키 위해 노력할 뿐만 아니라 현재 공공기관 및 박물관과 같은 곳에도 혁신적인 배리어프리 제품을 꾸준히 소개하고 있다고 한다. 이를 통해 장애인 및 노약자가 독립적으로 필요한 서류를 발급받을 수 있는 accessible 키오스크 및 시각-청각 장애인들이 전시품을 관람할 수 있도록하는 서비스 제품을 카타르 전역에 보급하고 싶다고 한다고 전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