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메타버스 산업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방향과 과제
- 등록일2022-07-15
- 조회수3243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2-07-08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메타버스#메타버스 특별법
- 첨부파일
메타버스 산업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방향과 과제
◈ 목차
1. 검토배경
2. 국내·외 메타버스 R&D 투자현황
3. 메타버스 산업생태계의 발전
4. 메타버스 기술 표준화 추진
5. 메타버스 특별법 주요내용
6. 결론 및 시사점
◈본문
1. 검토배경
• 올 한해 5개월간 전 세계 기업, 벤처캐피털(VC), 사모투자(PE)들이 메타버스에 투자한 금액은 1,200억 달러(154조 원)를 넘어섬
- 지난해(2021년) 투자금액인 약 570억 달러(약 73조 원)에 비해 두 배 이상 대규모 투자가 이루어졌으며,
- 매킨지社는 메타버스 시장을 2030년 최대 5조 달러(6,425조 원)로 예상
• 페이스북(Facebook)은 다가오는 메타버스 산업에 대비하기 위해 17년만에 메타(Meta)로 사명을 변경
- 메타에서 출시한 VR기기인 ‘오큘러스 퀘스트2’는 누적 판매량이 1000만 대를 넘어섬
• 주요국은 메타버스 구현 기술의 확보를 위해 중점 투자·확산 추진 중
- (미국) XR, AI 등을 혁신경쟁법안(USICA)의 핵심기술 분야로 포함(’21.6)
- (중국) XR 산업을 국민경제/사회발전 14차 5개년 계획에 포함하여 디지털경제 중점산업으로 선정(’21)
• 정부는 메타버스 경제 활성화를 위한 메타버스 특별법 제정, 일상·경제활동을 지원하는 메타버스 서비스 발굴 등 생태계 활성화, 블록체인을 통한 신뢰기반을 조성 예정
- 이에, 메타버스 산업생태계를 살펴보고, 메타버스 특별법과 관련된 이슈 분석 및 방향 제시를 하고자 함
2. 국내·외 메타버스 R&D 투자현황
• 정부는 디지털 대전환(DX)의 기반을 위해 메타버스를 포함한 6대* 디지털혁신기술에 매년 1조 원 규모의 투자 예정(자문회의, ’22.06)
* 인공지능, 인공지능반도체, 5G·6G, 양자, 메타버스, 사이버보안
※ 과기정통부는 메타버스 육성전략을 후속 발표 예정
• 미국은 기술 경쟁력을 선도하기 위해 XR을 포함한 10대* 전략기술분야에 5년간 약 34조 원을 투자(1년에 약 7조 원)예정
* ①인공지능·머신러닝·자율주행, ②고성능 컴퓨터·반도체·첨단 컴퓨터 하드웨어, ③양자 컴퓨팅, ④로봇·자동화·첨단제조, ⑤자연재해 예방, ⑥첨단 통신·XR, ⑦바이오·유전체학·합성생물학, ⑧첨단에너지, ⑨사이버 보안·데이터 저장 및 관리, ⑩첨단 소재
• 중국은 베이징, 상하이, 광둥성 등 지역특화 메타버스 플랫폼 활용방안을 지원
- 각 지방정부는 디지털 경제 표준, 메타버스 체험 클러스터, 관리·감독 수단과 관련 법규 등 마련 예정
3. 메타버스 산업생태계의 발전
• 메타버스 산업생태계의 분류
- 기존 IT 산업생태계 분류방식인 C-P-N-D에 따르면, 메타버스의 산업생태계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음
* 메타버스 특성에 맞게 C-P-N-D에 IP를 추가한 형태의 산업생태계 연구도 진행 중
• 메타버스 산업생태계의 발전
- 메타버스 기술은 축적성과 전유성이 높으며, 융합이라는 특성*에 의해 신기술에 의한 혁신의 기회성 또한 높음
* 메타버스는 VR·AR, AI, 5G,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가상화폐 등 기술의 융합체
- 특히, 시장을 점유하고 있는 기업들은 사용자들을 베타테스터하여 콘텐츠에 집중할 수 있는 관련 주변기기와 초실감형 영상기술 발전이 필요
4. 메타버스 기술 표준화 추진
• 웹3.0 시대에 발맞추어 메타버스의 잠재력은 개방형 표준 토대 위에 실현될 것
• 최근, 메타버스 발전에 필요한 각종 기술 표준 제정을 위해 글로벌 기업들이 메타버스 기술 표준 포럼(Metaverse Standards Forum)을 설립(’22.06.21,)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