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R&D 투자효율성 제고를 위한 PM 수행조직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 등록일2022-08-09
- 조회수3165
- 분류정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2-07-27
-
출처
한국연구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R&D 투자#PM 수행조직
- 첨부파일
R&D 투자효율성 제고를 위한 PM 수행조직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 목차
⑴ 제1장 연구 개요
⑵ 제2장 국내외 R&D PM 동향
⑶ 제3장 PI-PM-전문기관간 합리적 거버넌스
⑷ 제4장 R&D PM 활성화 방안
⑸ 제5장 R&D PM협회 육성 방안
⑹ 제6장 공청회 개최 결과
⑺︎ 제7장 종합의견 및 제언
⑻︎ 참고문헌
◈본문
1. 국내외 R&D PM 현황 및 전망
1.1 미국
• 미국은 Gantt Chart, PERT, CPM, WBS, EVM 등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을 선도적으로 개발
– R&D 프로젝트 실패율을 낮추기 위하여 TRL 표준을 개발하여 활용하고 있고, 2000년대 이후 사업화를 목적으로 하는 프로그램의 경우, 민간기업의 신제품 개발방법론인 Stage-gate 방법론을 적용
– 연방부처는 부처별로 세분화된 project management handbook (or guideline)를 마련하여 프로젝트 관리의 표준화 추진
• 최근 미국 의회는 프로젝트 실패 (일정지연과 비용상승)에 따른 예산낭비 10% 줄이기 위한 조치로 프로그램 매니지먼트 관리 혁신법(PMIAA: program management impovement accountability act 2016)를 제정하여, 범정부 차원의 프로그램/프로젝트 매니지먼트 혁신을 추진 중
1.2 유럽
• 유럽은 digital europe & interoperability programme의 일환으로 프로젝트 관리 표준가이드인 PM2(project management methodology)를 개발하여 유럽연합의 모든 프로젝트에 적용하고 있음
– 2008 PM2 가이드 개발에 착수한 이후, 2014년 agile 가이드북을 개발하였고, 교육훈련, 자격인증, 컨퍼런스 등 민간부문에의 확산보급 시책을 추진 중
• Horizon Europe 프로그램에 PM2가이드라인을 적용하여 R&D 프로젝트에의 체계화된 프로젝트 관리 적용이 확대 중
– 유럽에는 R&D프로젝트 관리 서비스를 전문적으로 제공하는 PMC (project management company)가 다수 활동하고 있으며, Horizon Europe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PM서비스를 제공
– PMC들은 R&D자금 확보를 위한 컨설팅에서부터 R&D과제 제안, R&D프로젝트 수행관리, 성과관리, 지식재산권관리, 기술사업화 등 다양한 기능의 PM서비스를 제공
1.3 일본
• 경제산업성의 지원 하에 엔지니어링진흥협회 주관으로 2001년 P2M (project & program management for enterprise innovation)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여 보급 활용
– P2M은 이노베이션 프로젝트에 초점을 맞춘 프로젝트 가이드라인이라는 점이 특징
• 정부R&D관리기구는 2000년대 초반 전주기 프로젝트 관리를 위하여 프로젝트 기획에서부터 종료까지 전과정 PM제도를 도입하는 시스템 혁신을 추진함
– 국책R&D프로젝트의 경우, 프로젝트 전담관리자(PM)을 개방직으로 공모하여 선임하고, 프로젝트 총괄관리 책임 역할을 수행함 (technical management는 연구리더가 담당하나, project management는 PM이 담당함)
– NEDO는 사업화를 목표로 하는 R&D프로그램은 민간기업의 신제품개발 프로세스 & 방법론인 stage-gate 시스템을 도입하여 프로젝트 관리를 추진
1.4 민간 부문
• 글로벌 project management를 선도하고 있는 PMI (project management institute)는 PM전문가 협회로, 국제표준의 프로젝트 관리 가이드라인인 PMBOK (project management body of knowledge)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고 발표
• 최근 새롭게 발표한 PMBOK-7 (2021년 발표)에서는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패러다임이 “프로세스 중심”에서 “아웃컴 (outcome) 중심”, “산출물 중심”에서 “가치전달 중심”, “규칙 중시”에서 “원칙 중시”로 변화
• 또한 프로젝트 관리 기술이 인공지능, 데이터 애널리틱스, 클라우드, 모바일 기술, IoT기술과 융합되면서,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업무 생산성이 획기적으로 향상
1.5 한국
•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제정을 통한 연구자 중심 R&D제도 혁신 근거를 마련
– R&D 서식통일 및 연구행정 간소화, 연구관리 정보시스템 통합관리 등 연구자 편의성 중심으로 제도개선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프로젝트 성과제고를 위한 project management 측면의 시스템 또는 제도 혁신은 미흡
• R&D사업관리가 전문가를 활용한 평가행정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고, PPM (portfolio and project management)는 취약한 상황이나, 최근 중대형 R&D 프로젝트에 대한 project management 시범 적용을 추진하는 등 R&D프로젝트 관리 혁신에 대한 관심이 증가
1.6 PM동향 분석의 시사점
① 프로젝트 경제시대의 도래로, 프로젝트 관리 역량이 국가경쟁력을 좌우한다는 인식하에 국가차원의 프로젝트 관리혁신 시책 추진 필요
② 건설, IT 등 전통적인 프로젝트 관리기법은 R&D분야에 적용하기 적합하지 않은 상황이며, R&D프로젝트 특성을 고려한 R&D PM 기법 개발·보급 필요
③ 국가R&D투자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연구관리 전문기관이 PPM (portfolio and project management) 중심의 프로세스 혁신 필요
④ 정부는 중대형 R&D사업에 PM기법 시범적용을 추진하고 있으나, PM혁신 성공을 위해서는 PM혁신 계획 수립, PM혁신조직 운영, PM 기법 및 가이드라인 개발, PM교육훈련, PM수행기관 활용, PM혁신 인센티브 마련 등 PM혁신 시책의 입체적 추진 필요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청년 X 세대갈등 X 불평등
-
다음글
- 각국정부가 추진하는 메타버스 지원 정책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