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中 <‘14차 5개년’ 국민건강규획> 발표로 보는 관련 산업의 발전 및 투자 전망
- 등록일2022-08-22
- 조회수3157
- 분류정책동향 > 레드바이오 > 의료서비스기술
-
자료발간일
2022-08-12
-
출처
KOTRA
- 원문링크
-
키워드
#국민건강규획#중국 헬스케어
中 <‘14차 5개년’ 국민건강규획> 발표로 보는 관련 산업의 발전 및 투자 전망
◈ 목차
(1) 국민건강규획의 배경 및 주요 내용
(2) 관련 유망 산업
(3) 1.의료 서비스의 발전
(4) 2.의료 인프라의 혁신
(5) 3.중의약의 전망
(6) 전망 및 시사점
◈본문
| 중국 헬스케어 및 공중보건 서비스 관련 산업에 청신호 켜져
국민건강규획의 배경 및 주요 내용
최근 중국 국무원(国务院)은 <‘14차 5개년’ 국민건강규획(“十四五”国民健康规划, 이하 ‘14.5 규획’)>을 발표했다. 14.5 규획’의 주요 골자는 2025년까지 보건 체계의 개혁을 통해 최적의 보건 시스템을 구축하여 중국 국민의 전 생애 주기에 맞춘 전방위적 고품질 건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지난 몇 년간 중국은 <‘건강중국2030’규획요강 (“健康中国2030”规划纲要)>, <건강중국행동 관련 실시의견 (关于实施健康中国行动的意见)> 등 자국민 건강 증진에 초점을 맞춘 국가 단위의 전략을 추진해왔다. 국가위생건강위원회 레이정롱(雷正龙) 부국장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중국의 다수 전염병 발병률은 19.3% 감소했다.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 중국 재정부와 국가중의약관리국이 공동으로 7월 발표한 <2022년 기본 공중보건 서비스 업무 수행에 관한 통지서 (关于做好2022年基本公共卫生服务工作的通知)>에는 2022년 기본 공중보건 서비스 1인당 재정 보조금을 84위안으로 명시하였다.
같은 달 국가위생건강위원회가 발표한 <2021년 중국 위생 건강사업 발전통계공보 (2021年我国卫生健康事业发展统计公报)>에 따르면 중국 국민의 1인당 평균 기대 수명은 2020년 77.9세에서 2021년 78.2세로 늘어났으며 임산부 사망률은 10만명 당 16.9명에서 10만명 당 16.1명, 영아 사망률은 5.4%에서 5.0%로 낮아지는 등 건강 수준이 빠르게 개선되는 흐름을 보인다. 국가위생건강위원회 송리(宋莉) 국장은 2021년 기준 중국의 임산부, 영아, 5세 이하 아동 사망률이 모두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고 밝혔다. 중국 정부는 이에 박차를 가하며 코로나19 시대의 중국 인구 고령화, 저출산, 식품 안전, 보건위생, 직업 건강 등 문제 해결에 주력하고 있다.
이번 ‘14.5 규획’은 2025년까지 중국의 공중보건 체제를 대폭 강화하여 ▲중국 특색의 기본 보건의료 제도 개선, ▲중대 질환 및 예측불허의 공중보건 사태 대응 역량 강화, ▲중의약 고유 경쟁력 제고, ▲헬스케어 과학기술 혁신 역량 강화, ▲2020년 대비 1인당 기대수명 1세 연장, ▲동기 대비 1인당 건강수명 연장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주요 발전 지표에 따르면 ‘14.5 규획’은 2025년까지 전체 공중보건 서비스 산업 규모가 11조5000만 위안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14.5 규획’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2035년에는 ▲사회주의 현대화 국가에 걸맞은 기본적 보건 체계 확립, ▲중국 특색의 보건의료 제도 보완, ▲1인당 기대수명 80세, ▲1인당 건강수명 연장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14.5 규획’은 그 밖에도 ▲공중보건 보호망 내실화, ▲건강 문제와 영향요인에 대한 전방위적 관리, ▲전 생애 주기에 걸친 건강관리, ▲보건의료 서비스 품질 향상, ▲중의약의 계승 및 발전, ▲헬스케어 산업 육성, ▲국민 건강 보험 확대 등 7대 핵심 과제를 제시하였다.
[자료: 중국중앙인민정부 공식 홈페이지]
관련 유망 산업
‘14.5 규획’ 발표 후, 중국의 의료 서비스, 헬스케어, 중의약, 관광, IT, 건강식품 등 건강 관련 산업에 청신호가 켜졌다.
1.의료 서비스의 발전
‘14.5 규획’에서 ‘보건의료 분야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여러 차례 강조한 것, 그리고 코로나19 상황과 중국 국내 의료자원의 불균형한 배분을 고려 할 시, 의료 서비스의 발전이 매우 활발할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의료 공학, 의료 장비와 의료 정보화 산업 등이 빠르게 발전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 중에서도 의료 정보화 산업이 현재 중국 시장에서 두각을 드러내고 있다.
의료 정보화는 컴퓨터 과학과 인터넷 통신 기술 및 데이터베이스 기술을 활용하여 병원 간 및 병원 내부 부처 간에 환자 정보와 관리 정보의 수집, 저장, 처리, 추출과 데이터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들의 기능적 편의를 도모하는 것을 말한다. 즉 의료 서비스의 디지털화, 네트워크화, 정보화를 의미한다. 의료 분야에서의 정보화 작업은 비교적 복잡한 편에 속하며, 좁은 의미로는 병원 정보화, 지역 위생 정보화, 기타 산업 연계 작업을 다루고 있으며, 넓은 의미로는 병원 관리, 의료 정보화, 의약품 유통 정보화, 임상 관리 정보화 등을 포괄하고 있다.
중국의 의료 정보화 산업은 2018년 국가의료보장국(国家医疗保障局)의 출범으로 결제 시스템이 바뀌면서 비교적 빠른 속도로 발전하였다. 그리고 2019년 코로나19 사태로 의료 정보화에 대한 고정 수요가 늘어나고 구체화됨에 따라 국가 차원에서 관련 정책을 잇달아 발표하였고 중국의 의료 정보화 산업은 황금기에 접어들었다.
<2020 의료 정보화 발전 연구 보고서 (2020 医疗信息化发展研究报告)>에 따르면 2020년 중국의 의료 정보화 산업 규모는 1,049억 위안으로, 2년 뒤인 2022년의 시장 규모는 1576억 위안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였다.
중국의 의료 정보화 기업은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우선 의료 정보화에만 전념하는 기업, 촹예후이캉(创业慧康) 웨이닝젠캉(卫宁健康), 허런커찌(和仁科技) 등이 있다. 두 번째 유형은 의료 정보화 기술을 필요로 하는 기업들인데, 주로 소프트웨어 서비스와 IT 통합 관련 기업들이 있다. 중국의 둥롼그룹(东软集团)과 둥화소프트웨어(东华软件)가 이 유형에 해당한다. 세 번째로는 쓰촹이훼이 (思创医惠) 등 인수합병을 통해 의료 정보화 산업에 진출하는 기업들이 있다. 여기서 의료 정보화 업무가 전체 업무의 절반 이상인 기업은 촹예후이캉(创业慧康) 웨이닝젠캉(卫宁健康), 허런커찌(和仁科技)가 있다.
2017년 기준 촹예후이캉(创业慧康)의 영업이익은 12억400만 위안, 웨이닝젠캉(卫宁健康)의 영업이익은 11억 5000만 위안, 허런커찌(和仁科技) 는 2억7600만 위안을 기록했다. ‘14.5 규획’은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새로운 정보기술을 보급함으로써 의료 정보화의 핵심인 ‘스마트 의료서비스’를 실현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처럼 의료 정보화는 현대 의학 산업의 새로운 기반이자 투자자들의 기회의 땅으로 자리 잡고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