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국내·외 대학의 연구업적 평가제도 소개-정성적 측면의 연구업적 평가를 중심으로

  • 등록일2022-09-14
  • 조회수2754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2-09-07
  • 출처
    한국연구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연구업적 평가제도
  • 첨부파일

 

 

국내·외 대학의 연구업적 평가제도 소개

-정성적 측면의 연구업적 평가를 중심으로

 

◈ 목차

1. 머리말

2. 우리나라 대학의 연구업적 평가제도

 (1) 연구업적 평가에 대한 연구자들의 인식

 (2) 주요 대학들의 연구업적 평가규정 비교분석

3. 연구업적 평가제도 개선 관련 국제학술단체의 권고사항

 (1) DORA 선언

 (2) 라이덴 선언

4. 해외 10개 대학의 연구업적 평가제도 비교분석

5. 중국정부의 대학 연구업적 평가제도 개선 권고사항

6. 맺음말

부록

 해외 10개 대학의 연구업적 평가제도 상세현황

 

 

◈본문


1. 머리말


• 연구윤리 위반행위가 발생하는 원인은 여러 가지이나 가장 큰 원인은 연구자들의 ‘논문 수 채우기 부담’ 때문이라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 이로 인해 너무 많은 논문들이 학술발전보다는 연구업적 평가를 위한 실적용(publication list)으로 전락하고 있습니다.


• 한국연구재단(2021)1)의 조사에 따르면, 대학교원들은 연구윤리 위반행위가 근절되지 않고 있는 가장 큰 원인으로 ‘연구자 간 치열한 경쟁과 양적 위주의 업적 평가 시스템으로 인한 성과 지상주의(36.9%)’를 지목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대학교원들은 연구윤리 위반 예방을 위해 가장 필요한 과제는 ‘성과에 대한 과열 경쟁을 완화하기 위한 평가제도 개편(29.9%)’이라고 응답하였습니다.


• 현행 국내 대학들의 교원연구업적 평가방식은 대부분이 정량평가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대학교원들은 어쩔 수 없이 논문 편수를 늘리기 위한 경쟁을 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의 연구윤리 위반사례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 이에 부실학술활동 등 연구윤리 관련 소모적 논쟁을 줄이고 혁신적 성과 창출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대학교원들에 대한 연구업적 평가방식의 대수술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 아무쪼록 이 자료가 우리나라 대학들의 연구업적 평가제도 개선방향에 조금이라도 기여할 수 있기를 바라며, 각 대학은 이 자료에 소개된 내용을 해당 대학의 실정에 맞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 우리나라 대학의 연구업적 평가제도


 1. 연구업적 평가에 대한 연구자들의 인식


• 연구팀은 연구업적 평가제도에 대한 연구자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바람직한 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한국연구재단의 도움을 받아 아래와 같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 설문조사 결과 약 53%의 연구자는 정량적 연구업적 평가가 부실의심 학술지/학술대회 참여를 유도한다고 응답하였고, 약 60%의 연구자는 정성적인 연구업적 평가방식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습니다.


• 아울러 연구업적에 대한 정성평가제도의 도입이 필요한 가장 큰 이유는 “연구의 질 향상”이고 가장 대표적인 정성평가 방식은 “동료평가(Peer Review)”라고 응답하였습니다.


• 이러한 조사결과는 국내 대학 연구업적 평가제도의 합리적 재설계가 시급함을 암시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연구업적 평가에 대한 연구자들의 인식조사 결과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