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의료의 질과 격차 현황: 의료시스템의 건강 성과를 중심으로
- 등록일2022-09-15
- 조회수2732
- 분류정책동향 > 생명 > 보건의료학
-
자료발간일
2022-08-29
-
출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의료시스템
- 첨부파일
의료의 질과 격차 현황: 의료시스템의 건강 성과를 중심으로
◈ 목차
⑴ 의료시스템 성과 모니터링의 중요성
⑵ 만성기 케어에서의 의료 질 현황 및 격차
⑶ 급성기 케어에서의 의료 질 현황 및 격차
⑷ 나가며
◈본문
의료의 질과 격차 현황: 의료시스템의 건강 성과를 중심으로 김수진 보건정책연구실 연구위원 - 건강 수준 향상은 전체 인구집단에서 서비스의 접근성과 제공되는 서비스의 질에 따라 결정된다는 점에서 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과 함께 의료서비스 질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함. - 만성질환 케어와 급성질환 케어에서 건강 결과를 중심으로 하여 측정한 의료의 질은 전반적으로 개선되는 양상을 보였으나 의료급여 수급자 및 소득 수준이 낮은 경우에 전반적으로 좋지 않은 편으로, 이들의 일상적인 건강관리를 강화하기 위한 지원이 필요함. - 주요 급성질환인 허혈성 뇌졸중과 울혈성 심부전에서 사망이 감소하고 입원 없이 생존한 비율이 증가한 것은 급성기 및 사후 관리에서 의료의 질이 일부 개선되고 있으나 통합적 관리를 통한 지속적인 개선이 필요함을 의미함 |
01. 의료시스템 성과 모니터링의 중요성
◆ 우리나라는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등을 통해 국민의 의료 접근성을 향상하고자 지속적으로 노력해 왔지만 의료 접근성 개선이 국민의 건강 수준 향상으로 이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공되는 의료서비스의 질과 격차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함.
● 건강 수준 향상은 전체 인구집단에서 서비스의 접근성과 제공되는 서비스의 질에 따라 결정된다는 점에서 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과 함께 의료서비스 질에 대한 관심이 필요함.
● 의료의 질 향상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개선되거나 나빠진 영역이 무엇인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음. 특히 환자와 사회가 추구하는 가치인 건강 결과를 중심으로 시스템 수준에서 의료 질과 성과를 모니터링해야 함.
● 전반적인 개선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위험 요인에 따른 의료서비스 접근성과 질의 격차 문제가 많은 국가에서 지속되고 있다는 점에서 격차에 대한 모니터링이 함께 이뤄져야 함.
◆ 이 글에서는 만성기 케어와 급성기 케어로 구분하여 건강 결과 지표를 이용해 의료 질의 추이와 격차를 모니터링 하고 정책적 함의를 고찰하고자 함.
● 만성기 케어와 관련해 만성질환을 가진 사람들의 삶의 질, 아픈 사람을 위한 의료시스템의 역할의 충분성, 외래 서비스로 관리 가능한 질환으로 인한 계획되지 않은 입원과 함께 고혈압 및 당뇨병 환자의 복약순응도에 대해 살펴봄. 19세 미만 아동·청소년과 관련해 추가로 천식, 당뇨, 뇌전증으로 인한 계획되지 않은 입원에 대해 살펴봄.
● 급성기 케어와 관련해서는 병원 입원이 필요하지 않은 급성질환으로 인한 응급입원, 퇴원 후 30일 내 응급 재입원, 울혈성 심부전 및 허혈성 뇌졸중 발생 후 1년 내 건강 결과를 살펴봄.
● 이 글에서 사용한 지표별 자료원은 아래와 같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