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부실 학술활동 예방하기-부실 학술지 및 학술대회 논문 발표를 중심으로

  • 등록일2022-09-16
  • 조회수2672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2-09-08
  • 출처
    한국연구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부실 학술활동
  • 첨부파일

 

 

부실 학술활동 예방하기-부실 학술지 및 학술대회 논문 발표를 중심으로

 

◈ 목차

⑴ 부실 학술활동이란?
⑵ 부실 학술단체란?
⑶ 부실 학술단체의 발생 배경은?
⑷ 부실 학술지/학술대회 점검 방법
⑸ 부실 학술지/학술대회에 대한 연구자 설문조사 결과
⑹ 맺음말

부실학술활동 예방을 위한 권고사항

붙임 1 부실하거나 약탈적인 학술지 및 학술대회의 특징

붙임 2 부실학술활동 예방 관련 사이트

붙임 3 부실학술활동 예방을 위한 체크리스트(예시)


 

◈본문


1. 부실 학술활동이란?


부실 학술활동이란?


연구과제의 제안, 수행, 결과 보고 및 발표 등에서 이루어진 제반 활동이 부실한 것을 의미, 다음과 같이 2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① 국가연구개발혁신법(제31조제1항)에 따라 명백하게 부정행위로 분류할 수 있는 학술활동

⇨ 위조, 변조, 표절, 부당저자표시 등

② 법률에 따른 부정행위로 분류할 수 없으나 바람직하지 않은 연구행위

⇨ questionable research practices (QRP)



바람직하지 않은 연구행위(QRP)란?


연구활동의 전통적인 가치를 침해하는 것으로 연구 프로세스에 유해한 영향을 줄 수 있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행위는 연구 프로세스의 성실성에 대한 신뢰를 손상시키고 과학의 다양한 전통적 관습을 위협합니다.


예시) ①중요한 연구 데이터를 일정 기간 보관하지 않는 것, ②연구 기록의 부적절한 관리, ③논문 저자 기재에 있어서의 문제, ④연구 시료·연구 데이터의 제공 거절, ⑤불충분한 연구지도와 학생 착취, ⑥연구 성과의 불성실한 발표(학술지 또는 학술대회 논문 발표 등)



2. 부실 학술단체란?


부실 학술단체 개념 정의의 특징


명확히 정의하기도 어렵고 배제하기도 어렵습니다.

누구나 인정할 수 있는 부실 학술단체 List는 없습니다.



부실 학술단체를 바라보는 시각은?


부실 학술단체를 바라보는 시각은?



Beall’s List


2000년대 말부터 콜로라도덴버대학교 사서였던 Jeffery Beall이 본인이 만든 부실추정저널 리스트(Beall’s List)를 공개한 후부터 부실 학술단체 이슈가 학계와 언론의 주목을 받게 되었습니다. 


Beall’s List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