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美, 「국가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이니셔티브」 행정명령 주요 내용 및 시사점
- 등록일2022-09-22
- 조회수3371
- 분류정책동향 > 생명 > 생물공학
-
자료발간일
2022-09-20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바이오제조 이니셔티브
- 첨부파일
美, 「국가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이니셔티브」 행정명령 주요 내용 및 시사점
◈ 목차
⑴ 검토 배경
⑵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혁신 촉진에 관한 행정명령 주요 내용
⑶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이니셔티브-신규 투자 및 지원에 관한 주요 내용
⑷ 결론 및 시사점
◈본문
1. 검토 배경
• 미국 바이든 대통령은 건강, 기후 변화, 에너지, 식량 안보, 농업, 공급망, 국가 및 경제 안보 확보를 목적으로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를 발전시키기 위한 「국가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이니셔티브*」에 대한 행정명령에 서명('22.9.12)
*National Biotechnology and Biomanufacturing Initiative
※ 행정명령의 정식 명칭은 '지속가능하고 안전하며 확고한 미국 바이오 경제를 위한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혁신 촉진에 관한 행정명령'
• 「국가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이니셔티브」 관련 행정명령은 미국 중심의 기술패권 회복을 위해 최근 통과시킨 두 법안의 연장선에 있음
- 미국 정부는 반도체 및 전기차/배터리 등 핵심 산업에서 중국을 견제하고 자국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반도체 및 과학법(CHIPS and Science Act)과 인플레이션감축법(Inflation Reduction Act) 등의 법안을 연이어 발효('22.8.)
- 본 행정명령은 중국 바이오기술 및 시장의 급성장*에 따른 위협이 직접적인 원인이나, 바이오기술 혁신을 통해 미국 내 건강, 농업, 에너지 등 바이오경제 관련 다양한 분야의 성장을 촉진하고자 하는 목적도 있음
*중국은 미국에 이은 세계 2위의 바이오시장이자, 항암면역세포치료제(CAR-T)와 유전자가위기술(CRISPR) 임상시험 등록 건수 등에서는 미국을 추월
• 본 고에서는 14개 절(section)로 구성된 동 행정명령의 주요 내용을 정리하고 국내 바이오산업에 미칠 영향 등 관련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참고: 「국가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이니셔티브」 개요> (a)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에 관한 주요 연구개발 투자 강화 및 조정 (b) 보안, 개인정보 보호, 연구 원칙을 준수하며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혁신을 유도할 수 있는 생물학적 데이터 생태계 육성 (c) 미국 내 바이오제조 생산능력과 공정의 개선 및 확장, 기초연구 성과의 현장적용 촉진을 위한 파일럿 및 프로토타입화 노력 증대 (d) 미국의 농업, 산림업 종사자를 위한 지속 가능한 바이오매스 생산 촉진 및 기후변화에 따른 인센티브 창출 (e) 바이오에너지, 바이오기반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시장 기회 확대 (f)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발전을 위해 다양한 분야의 숙련된 노동력 및 차세대 리더 양성을 위한 훈련 및 지원 (g) 생명공학 제품의 안전한 사용 지원을 위한 규제를 과학과 위험에 기반하여 예측가능하고, 효율적이며 투명한 시스템으로 명확화, 합리화 (h) 응용 생물안전 및 생물보안 혁신 분야에의 연구 및 투자 지원을 포함해 생명공학 및 바이오 제조 R&D 주기의 초기단계에서부터 생물 위해성 관리 강화 (i) 바이오경제 정책, 의사결정 사항, 투자 등 더 좋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표준을 촉진, 측정 기준을 수립하고 바이오 경제 수준을 성장, 평가하기 위한 시스템 개발 (j) 위협, 위험 및 잠재적 취약성에 대한 미래 지향적, 예방적 접근 방식 적용, 미국의 기술적 리더쉽과 경제적 경쟁력 보호를 위해 민간 부문 및 이해관계자와 협업 (k) 미국의 원칙 및 가치에 부합하고, 안전한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연구, 혁신, 제품 개발 및 사용을 위한 모범 사례를 촉진함으로써 생명공학 R&D 협력 강화를 위한 국제 참여 유도 |
2.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혁신 촉진에 관한 행정명령 주요 내용
※ 행정명령 14개 절(section) 중 3,4,5,12절의 주요 내용을 발췌(전체 내용 요약은 표3)
• 미국의 사회적 목표 달성을 위해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R&D 활용
- 해당 기관은 사회적 목표 달성을 위해 아래의 보고서*를 마련하여 국가안보보좌관(APNSA)을 통해 대통령에 제출
* 전체 목표와 민관 협력 기회를 달성하기 위해 우선순위가 높은 연구 및 기술 개발 요구사항을 확인하고, 생명공학 R&D 및 바이오제조 전주기에 걸쳐 위험을 완화하기 위한 조치사항을 포함
<표1> 주요 부처·기관별 제출 보고서
- 각 기관은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향상을 위해 수행한 조치와 배정 자원에 대해 관리예산실 국장, 국가안보보좌관, 경제정책보좌관, 국내정책보좌관, 과학기술정책저 국장에 보고
- 대통령 과학기술자문위원회*는 글로벌 바이오경제에서 미국의 경쟁력을 유지하는 방법에 대한 권고를 제공하는 바이오경제 보고서를 제출하고 대중에 공개
* President's Council of Advisors on Science and Technology
• 미 행정부는 미국 바이오경제의 혁신을 주도하기 위해 쉽게 접근 가능하고 안전하며 고품질의 생물학적 데이터셋을 보장하는 바이오경제를 위한 '데이터 이니셔티브'를 수립
• 미국 내 바이오제조 생태계 구축
- 국가안보보좌관과 경제정책보좌관은 주요 부처 및 기관(NSF, NASA 등)과 협력하여 건강, 에너지, 농업 및 산업 각 분야 제품에 대한 미국 내 바이오제조 역량을 확대할 수 있는 전략 수립
- 아래 제시된 기관들은 위 내용에 따라 수립된 전략에 의해 미국 내 바이오제조 생태계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에 신규 투자 또는 투자 확대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