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OECD Health Statistics 2022(요약본) 소책자

  • 등록일2022-09-27
  • 조회수3858
  • 분류정책동향 > 생명 > 보건의료학
  • 자료발간일
    2022-09-19
  • 출처
    보건복지부
  • 원문링크
  • 키워드
    #OECD#Health Statistics 20
  • 첨부파일

 

 

OECD Health Statistics 2022(요약본) 소책자

 

◈ 목차


01 건강상태

 1. 기대수명

 2. 영아사망률

 3. 연령표준화 사망률

  3-1. 암

  3-2. 순환기계 질환

  3-3. 호흡기계 질환

  3-4. 당뇨병

  3-5. 치매

  3-6. 자살


02 건강 위험요인

 6. 주류 소비량

 7. 흡연율

 8. 과체중 도는 비만 인구 비율


03 보건의료 자원

 9. 임상 의사 수

 10. 의학계열 졸업자 수

 11. 의사 임금소득

 12. 임상 간호인력 수

 13. 간호대학 졸업자 수

 14. 간호사 임금소득

 15. 총 병원 병상 수

 16. 급성기 병원 병상 수

 17. 컴퓨터단층촬영(CT) 스캐너 보유 대수

 18. 자기공명영상(MRI) 장비 보유 대수


04 보건의료 이용

 19. 국민1인당 의사 외래 진료 횟수

 20. 국민 1인당 치과의사 외래 진료 횟수

 21. 환자 1인당 병원 전체 평균재원일수

 22. 환자 1인당 급성기 진료 평균재원일수

 23. 제왕절개 건수

 24. 컴퓨터단층촬영(CT) 검사 건수

 25. 자기공명영상(MRI) 검사 건수

 26. 인플루엔자 예방접종률


05 보건의료 질

 27. 급성심근경색증 입원 환자의 병원 내 30일 치명률

 28. 허혈성 뇌졸중 입원 환자의 병원 내 30일 치명률

 29. 전신적 사용을 위해 처방된 항생제의 총 처방량


06 보건의료 비용

 30. 국내총생산(GDP) 대비 경상의료비

 31. 국민 1인당 경상의료비

 32. 경상의료비 중 정부·의무가입제도 비중

 33. 경상의료비 중 개인의료서비스 비중


07 의약품 시장

 34. 의약품 소비량

 35. 의약품 판매액


08 장기요양

 36. 장기요양 병원 병상과 시설 침상 수

 37. 공식 장기요양 돌봄 종사자 수

 38. 장기요양 돌봄 수급자 비율

 

 

◈본문


주요내용(요약)


이 책자는 OECD가 2022년 7월 4일 공표한 보건의료 통계(Health Statistics 2022) 중 주요 지표를 선정하여, 업무상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제작한 것으로 주로 2020년 기준의 수치를 수록하고 있음

연령표준화 사망률과 치명률은 자료의 제출 시점상 2019년이 최종 연도임


* 관련 자료는 OECD 홈페이지(http://oecd.org/els/health-systems/health-data.htm)에서도 확인이 가능함


>> 기대수명은 83.5년으로 OECD 평균 80.5년보다 3.0년 긴 것으로 나타남

- 기대수명은 2015년에 비해 1.4년 증가하여, OECD 평균 증가(0.2년) 수준보다 높음

- OECD 회원국 중에서 기대수명이 가장 긴 나라는 일본(84.7년)이고, 한국(83.5년), 노르웨이(83.3년), 호주(83.2년)가 그 뒤를 이음

- 반면, 리투아니아(75.1년), 멕시코(75.2년), 라트비아(75.5년), 헝가리(75.5년)는 기대수명이 짧은 국가임


>> 암에 의한 연령표준화 사망률은 인구 10만 명당 164.8명으로 OECD 평균(204.2명)보다 낮음


- 이는 OECD 회원국 중에서 다섯 번째로 낮은 수준이며, 암에 의한 사망률이 가장 낮은 국가는 멕시코(125.8명), 가장 높은 국가는 헝가리(286.4명)임


>> 자살에 의한 사망률은 인구 10만 명당 25.4명으로 OECD 평균(11.1명)보다 높음


- 다만, 2014년 27.6명에서 2019년 25.4명으로 2.2명 감소함(OECD 평균 1.3명 감소)


>> 회피가능사망률은 인구 10만 명당 147.0명으로 OECD 평균(215.2명)보다 낮음


- 2014년(185.0명)에 비해 38.0명 감소함(OECD 평균은 13.7명 감소)


>> 15세 이상 인구 중 매일 담배를 피우는 인구의 비율(흡연율)은 15.9%로 OECD 평균(16.0%)과 비슷함


- 2015년 17.3%에서 2020년 15.9%로 1.4%p 감소함 (OECD 평균 2.3%p 감소)


- OECD 회원국 중에서 흡연율이 가장 낮은 국가는 아이슬란드(7.3%)이고, 가장 높은 국가는 튀르키예(28.0%, 2019년)임


- 성별에 따른 흡연율을 살펴보면, 여자 흡연율은 3.9%로 OECD 회원국 중에서 두 번째로 낮지만, 남자는 27.8%로 OECD 회원국 중에서 여섯 번째로 높음

(OECD 평균 여자 12.3%, 남자 20.2%)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