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2022년 미래전략보고서

  • 등록일2022-09-28
  • 조회수2890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2-09-21
  • 출처
    한국산업기술진흥원-Global Tech Korea
  • 원문링크
  • 키워드
    #2022년 미래전략보고서
  • 첨부파일

 

 

2022년 미래전략보고서

 

◈ 목차

⑴ 개요
⑵ 배경
 

 

◈본문


◆ 개요


❏ 유럽연합(EU)이 발표한 ‘2022년 미래전략보고서(2022 Strategic Foresight Report - Twinning the green and digital transitions in the new geopoliticalcontext)’는 현재의 경제, 사회 및 지정학적 문제를 디지털화와 녹색 전환을 통해 해결하는 방안을 도출할 것과, 이를 위한 특정 기술 분야 혁신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 배경


❏ 최근의 지정학적 상황을 고려하여 유럽연합은 쌍둥이 전략(녹색 및 디지털 전환)의 상호 작용과, 이를 활용한 미래 지향적 전략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 녹색 전환과 디지털 전환 목표 모두 EU 정책 목표의 최우선과제이자 유엔(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 변화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환경, 사회, 경제적 지속 가능성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제시된 ‘Digital Compass’1) 와 ‘Fit for 55’2)에 명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전환을 위한 정책 설계 및 지배구조가 필요하다.


◆ 녹색 전환과 디지털 전환은 다음과 같은 4가지 측면에서 쟁점이 됨과 동시에 시너지를 일으킬 수 있다.


① 디지털 기술은 기후 중립 실현, 배출 저감 및 생물 다양성 복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입‧출력 통제, 계측, 자동화가 특징인 로보틱스(robotics)나 사물인터넷(IoT)과 같은 첨단 기술은 시스템과 네트워크의 성능, 자원 효율성 그리고 유연성을 강화할 수 있다.

- 예를 들어 블록체인 기반 에너지 데이터 관리는 제품의 수명주기와 가치 사슬 및 서비스의 성능을 강화하여 더 자원 효율적이고 경쟁력 있는 지속 가능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탄소 가격의 공정하고 정밀한 책정을 위해 필요한 모니터링, 보고, 검증에서도 디지털 기술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제품 이력을 수록한 디지털 여권은 재료, 컴포넌트(component) 정보 파악, 추적 가능성 및 정보 접근성 향상으로 순환형 비즈니스 모델에 기여할 수 있다.

- 그 밖에도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은 보다 지속 가능한 제품, 건축, 설계 프로세스와 직결되며, 양자 컴퓨팅은 전통 컴퓨팅 환경에서 불가능한 복잡한

시뮬레이션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이다. * 디지털 트윈: 컴퓨터에 현실 속 사물의 쌍둥이를 만들고, 현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컴퓨터로 시뮬레이션함으로써 결과를 예측하는 기술

- 또한 실시간 정보 탐지와 결합된 공간 기반 데이터 기술은 지속 가능성 모니터링에 적용 가능하다.


② 녹색 전환은 디지털 기술 발전에 기여한다.

- 재생에너지, 재생가능한 수소, 원자력 에너지, 핵융합 기술은 디지털 기술의 에너지 수요를 충당할 수 있다는 점에서 모두 중요하다.

- 2030년까지 데이터 센터와 클라우드 인프라가 필요로 하는 에너지를 태양광 및 풍력으로 조달하면서 기후 중립과 에너지 효율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빅 데이터 애널리틱스, 블록체인, 사물인터넷은 큰 역할을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