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글로벌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한국의 대응: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한국은 어디까지 왔나?
- 등록일2022-10-06
- 조회수2879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2-09-19
-
출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지속가능발전목표
- 첨부파일
글로벌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한국의 대응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한국은 어디까지 왔나?
◈ 목차
⑴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배경과 내용
⑵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 대처하는 글로벌 동향
⑶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 대한 한국의 대응
⑷ 글로벌 사회문제에 대응하는 한국의 현주소
◈본문
■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배경과 내용
○ SDGs의 배경
● 지속가능발전목표는 사람, 지구 및 번영을 위한 구체적인 행동계획으로 행위의 당사자는 전세계의 모든 국가임.
- 지속가능발전목표가 전 지구적인 문제에 대응하는 첫 번째 행동계획은 아니며, 지속가능발전목표 이전에 새천년
개발목표(MDGs; Millennium Development Goals)가 있었음
● 새천년개발목표(MDGs, 2002년~2015년)는 2000년에 들어 글로벌한 빈곤을 퇴치하기 위해 UN회원국들이
합의한 첫 번째 목표로, 전 지구적인 문제를 다루기 위한 세계적인 첫 번째 약속이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짐.
- 새천년개발목표를 통해 최빈국의 초등학교 학생 수가 증가하고, 5세 미만의 아동 사망률이 낮아지는 등의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기는 하였지만, 전 세계 빈곤의 퇴치와 환경보호를 위한 목표들에 대한 일반적인 공감대를 얻지는 못했음.
- 예를 들면, 빈곤의 문제는 가난한 나라만의 문제로 인식되어 선진국은 상대적으로 무관심한 반응을 보였음.
● 새천년개발목표의 목표 기간이 종료되고 새로운 목표 설정의 시기가 다가옴에 따라, MDGs의 목표의 근본적인
문제였던 일부 국가만이 다루는 문제에서 모든 국가가 다뤄야 하는 문제와 주제로 목표와 내용을 조정해
나온 것이 SDGs임.
○ SDGs의 내용
● SDGs는 2015년 뉴욕에서 개최된 제70회 유엔 개발정상회의에서 UN에 가입한 193개국의 만장일치로 채택되었음.
- SDGs의 목표들은 사회발전, 경제발전, 환경보호 등의 큰 3개의 주제를 축으로 17개 목표와 169개의 세부 목표로 구성
되어 있음.
- 17개 목표에는 빈곤 퇴치와 경제개발을 넘어 국제사회가 직면한 복잡하고 다양한 문제 해결을 위한 여러 가지 전제
조건까지 포함해 다루고 있음.
● 지속가능발전목표라는 약속의 이행은?
- 기존 MDGs의 경우, 목표에 대한 달성 현황은 각 국가가 자발적으로 보고하는 구조로 되어 있음.
- SDGs의 경우, 목표의 이행현황 모니터링을 위해 고위급정치포럼(HLPF; High-Level Political Forum on
sustainable development)을 두고 전 세계적으로 목표 달성을 위한 활동들이 얼마나 잘 이행되고 있는지를 감시함.
- 목표의 감시와 평가는 지표를 통해 진행되는데, SDGs 17개 목표에 대한 169개의 세부 목표는 세분화된 통계를 적용하게끔 개발되어 있음
- 이러한 구체적인 목표 제시를 통해 SDGs의 개별 목표들은 공허한 외침이 아닌 구체적인 실천의 방법들을 제시하고 있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