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화이트바이오 산업 활성화를 위한 유망 분야 도출 및 정부지원 방안
- 등록일2022-10-13
- 조회수3055
- 분류정책동향 > 화이트바이오 > 바이오화학・에너지기술
-
자료발간일
2022-10-05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화이트바이오
- 첨부파일
화이트바이오 산업 활성화를 위한 유망 분야 도출 및 정부지원 방안
◈ 목차
I. 연구 배경 및 목적
II. 화이트바이오 개념 정의 및 분류체계 정립
III. 특허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화이트바이오 유망 분야 도출
Ⅳ. 화이트바이오 유망 분야별 주요 동향 및 국내 현황 진단
Ⅴ. 화이트바이오 산업 활성화를 위한 유망 분야별 정부지원 방안
◈본문
I. 연구 배경 및 목적
■ 주요국의 탄소중립 선언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저탄소・친환경 경제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기존 석유화학 산업이 바이오 기반으로
빠르게 전환
○ 미국은 저탄소・친환경 정책을 내세운 바이든 대통령이 취임한 즉시 파리기후협정 재가입(’21.2)을 통해 ‘청정에너지・인프라 계획’을
추진 하여 2050년까지 100% 청정에너지 경제 및 탄소 순 배출량 0(Net Zero)을 달성 목표로 제시
※ 미국 에너지부, 바이오연료 기술 투자 방안 발표(’21.5) : 탄소 배출량을 줄이고 재생 가능한 바이오연료 전환 과정에 필요한 기술개발
에 3,500만 달러 투자 계획
○ EU는 2050년까지 유럽을 세계 최초의 탄소중립 대륙으로 만드는 비전과 함께 유럽그린딜(European Green Deal)(’19.12)을 제시하고,
2030년까지 탄소배출 감축목표 상향, 재생에너지 비중 증가를 목표로 조정
※ 2030년 석유계 원료의 25%를 바이오매스 기반 원료로 대체하기 위한 화이트바이오 분야 연구개발 로드맵 ‘RoadToBio’ 수립(’19)
■ 우리나라 정부는 ‘한국형 그린뉴딜’ 추진을 결정(’20.7.14)하고, 주요 수단으로 신재생에너지 활성화 등 정부 정책 방안을 제시
○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신재생에너지 확산기반 구축, 전기차・수소차 등 그린 모빌리티, 공공시설 제로 에너지화, 저탄소・녹색산업단지
조성 등을 제시하고, 스마트 관련 기술 및 친환경 기술 개발을 10대 과제로 설정
<그린뉴딜 대표 10대 과제>
1 데이터 댐 6 국민안전 사회간접자본(SOC) 디지털화
2 지능형(AI) 정부 7 스마트 그린 산업단지
3 스마트 의료 인프라 8 그린 리모델링
4 그린 스마트 스쿨 9 그린 에너지
5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10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
6 국민안전 사회간접자본(SOC) 디지털화
7 지능형(AI) 정부 7 스마트 그린 산업단지
8 스마트 의료 인프라 8 그린 리모델링
9 그린 스마트 스쿨 9 그린 에너지
10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10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