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디지털 역기능 전망과 대응 방향

  • 등록일2022-11-01
  • 조회수3196
  • 분류정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2-10-28
  • 출처
    한국과학기술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디지털
  • 첨부파일

 

 디지털 역기능 전망과 대응 방향


 

◈ 목차

⑴ 연구배경 및 절차
⑵ 디지털 역기능 개념, 특징 및 피해
⑶ 디지털 역기능 현황 및 정책동향
⑷ 디지털 역기능 유형별 전망
⑸ 디지털 역기능 전문가 인식조사 결과분석
⑹ 디지털 역기능 선제적 대응방향

  

◈본문

■ 연구배경
 디지털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역기능이 발생・확대되어 개인의 삶과 사회 구성원의 행동방식에 지대한 영향을 미

  칠 것으로 전망

• 개인의 일상과 비즈니스, 사회적 관계에서 디지털 기술이 필수 인프라가 됨에 따라 디지털 역기능의 종류와 범위, 강도가 더욱 확대되고

  있음

특히, 세대간 정보격차, 스마트폰/소셜 미디어 과의존, 게임 중독, 사이버 폭력, 지식재산 침해, 가짜 뉴스, 인간관계 축소 등은 심각한 사

  회문제로 비화

• 디지털 기술의 지능화・고도화・융합화 진전에 따라 개인과 사회 측면에서 정신과 신체, 경제활동과 공공안전에 대한 위협과 폐해가 크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

AI, 블록체인, 메타버스, 지능형 로봇 등의 혁신적 디지털 기술의 등장으로 딥페이크, 투기 자산화, 가상공간의 범죄 매체로 활용, 인간 소

  외와 정체성 혼란 등 새로운 유형의 부작용 확대

디지털 역기능은 개인의 심리적・정서적 장애를 넘어 경제적 불평등 확대, 편견・차별・ 책임소재 등 윤리적 문제, 범죄・테러에 악용 등 그

  폐해의 유형과 범위가 크게 확대

• 따라서, 디지털 역기능이 초래할 개인・사회・공동체에 대한 위협을 인식하고 이를 경감 또는 해소하기 위한 선제적 대응방향을 기술과 정

  책 측면에서 미리 준비하는 것이 필요

디지털 역기능을 초래할 수 있는 미래 디지털 기술의 개발과 사회적 확산에서 신뢰성과 책임성, 윤리성, 공공성, 포용성을 확보하기 위

  한 기술 솔루션과 정책 마련은 필수적 당면과제


■ 연구절차

• 본 연구에서는 과학기술 혁신정책 전문기관인 KISTEP과 국가 지능화 종합연구기관인 ETRI가 협력하여 국내외 문헌 조사, 전문가 자문 및

  브레인스토밍을 포함한 [그림 1]의 연구절차 수행

 이를 종합하여 본 보고서에서는 ① 디지털 역기능 개념 및 특징 파악, ② 디지털 역기능의 현황 및 정책동향 분석, ③ 디지털 역기능 유형

  별 전망, ④ 디지털 역기능에 대한 전문가 인식조사, ⑤ 디지털 역기능 선제 대응을 위한 기술 솔루션과 정책 방향을 제언



[그림 1] 연구절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