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NRF R&D 정책 Brief]노인성 근감소와 식품소재

  • 등록일2022-11-11
  • 조회수3121
  • 분류정책동향 > 생명 > 생명과학
  • 자료발간일
    2022-11-10
  • 출처
    한국연구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근감소증#식품소재
  • 첨부파일
    • pdf NRF R&D Brief-2022-14-노인성 근감소와 식품소재_기초연구본부 ... (다운로드 757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NRF R&D 정책 Breif] 노인성 근감소와 식품소재


 

◈ 목차

(1) 근감소증이란?
(2) 왜 주목받고 있나?
(3) 최근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나?
(4) 국내•︎외 주요 연구 동향
(5) 기초연구사업 지원 현황은?
(6) 향후 기초연구사업에서 어떤 연구들이 필요한가?

(7)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향후 중점적으로 추진하여야할 연구 주제는?

 

 

◈본문


1. 근감소증이란?

ㅇ 근감소증(Sarcopenia)은 노화에 따른 근육량 뿐만 아니라 근력과 근육 기능의감소로 삶의 질이 저하하고 사망률의 증가를 초래하는 노인에게 흔한 질환임

 외국에 이어 국내에서도 2021년부터 근감소증이 표준질병·사인분류에 질병코드로 등재됨

 근감소증은 원인에 따라 노화 그 자체로 인한 일차성 근감소증과 질환이나 신체적 비활동, 영양불량 등에 의한 이차성 근감소증으로 구분

 근육량과 근력은 30세 경에 최대가 되고, 40대부터 감소하여 시작하여 70세 이후가 되면 2배씩 빠른 속도로 감소하며 결과적으로 근육량은 20세부터 90세 사이에 약 50% 정도가 감소함

 노화에 따른 근육의 변화는 근육세포 수 및 크기의 감소, 근 섬유 유형의 비율 변화, 신경근 접합부 효율성 감소, 근육 내 지방세포 침윤, 근육 내 미토콘드리아 수 및 효소 감소, 근 섬유 필라멘트 내 엑틴-미오신의 감소, 근육 손상 시 회복 시간 지연 등의 특징 있음

※ 출처: 근감소증 (대한근감소증학회 2017 ISBN 979-11-5955-221-2)


2. 왜 주목받고 있나?

ㅇ 근감소증의 정의와 진단기준이 최근 마련되어 이에 대한 관심 증가, 고령화에따른 근감소증 환자의 급격한 증가는 사회경제적 고비용을 초래 – 근감소증치료제 부재

 70-84세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의 대표 코호트 연구(KFACS)에 의하면 근감소증 유병률은 남성 21%, 여성 14%로 보고됨

 근감소증은 골다공증과 더불어 낙상에 의한 골절의 주요한 위험요인일 뿐 아니라, 치매, 당뇨병, 심혈관 질환을 유발함

 치료제가 개발되기 전까지는 근감소증을 예방하여야 하며, 근감소증 개선에 효과적인 것은 운동과 영양 외에 없음

 근육에는 다양한 영양요소가 필요한데 가장 중요한 것은 단백질로 필수아미노산이 풍부한 양질의 단백질과 비타민 D는 근육 생성을 증가시킴

 근감소증 예방 및 치료제로 인정받은 것은 없으나, 크레아틴, 헛개나무과병추출분말, 동충하초 발효 추출물은 운동수행능력에 도움을 주는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로 식약처에서 인증받음

 근감소증의 근본적인 예방 및 치료방법의 개발에 다양한 식품소재가 활용될 가능성이 기대됨

※ 출처: 근감소증 (대한근감소증학회 2017 ISBN 979-11-5955-221-2) JAMDA 2020; 21:752-758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