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NRF R&D 정책 Brief] 지질나노입자
- 등록일2022-11-14
- 조회수3773
- 분류정책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22-11-11
-
출처
한국연구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지질나노입자
- 첨부파일
[NRF R&D 정책 Brief] 지질나노입자
◈ 목차
⑴ 지질 나노입자란?
⑵ 왜 주목받고 있나?
⑶ 최근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나?
⑷ 최근 국내•︎외 연구 동향은?
⑸ 기초연구사업 지원 현황은?
⑹ 향후 기초연구사업 차원에서 어떤 노력들이 필요한가?
◈본문
1. 지질 나노입자(LNP, Lipid Nanoparicle)란?
ㅇ mRNA 기반의 백신* 및 치료제 개발에 있어 핵심 요소는 mRNA가 분해되지 않고 효율적으로 세포 내로 전달하는 기술이며, 이를 위해
mRNA 전달체(carrier)로 지질 나노입자(LNP)가 사용되고 있음
* mRNA(messenger RNA, 전령 리보핵산) 백신: 유전정보를 가지고 사람의 세포로 들어가서 스파이크단백질을 생산하고, 이는 항체 형성을
유도하는 ‘항원’으로 기능(※ 출처: 기초과학연구원 코로나19 과학 리포트)
ㅇ 지질 나노입자는 ① mRNA의 음전하를 중화시킬 수 있는 이온화 양이온성 지질, ② 지질 나노입자의 지질 이중막 구조를 유지하고 세포
막을 잘 투과할 수 있는 인지질과 콜레스테롤, ③ 지질 나노입자의 체내 안정성을 높이는폴리에틸렌글리콜 (PEG, polyethylene glycol) 지
질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음[그림 1]
ㅇ 지질 나노입자는 mRNA가 생체 내 효소 등에 의해 분해되지 않도록 보호하고 mRNA가 가진 음전하를 중화시켜 세포막 투과 효율을 높
임. 세포 내로 들어온 지질 나노입자는 mRNA와 분리되어 분해되고 mRNA는 세포질에서 단백질 발현 과정에 참여함 [그림 2]
▪ Pfizer/BioNTech 및 Moderna에서 개발된 COVID-19 백신은 mRNA 백신으로 코로나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의 유전정보를 담은
mRNA를 세포에 전달하여 바이러스 단백질을 발현시켜 면역반응을 활성화하는 원리임. 이러한 mRNA 백신은 기존의 백신 개발에 필요
한 시간을 대폭 감소시켜 코로나 외 다양한 바이러스 질환의 백신 및 여러 질환의 치료제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R&D Brief 2022-28호] 비천연아미노산을 이용한 새로운 단백질공학 기술_기초연구본부 선정 R&D 이슈 연구동향
-
다음글
- [NRF R&D 정책 Brief] 엑소좀의 의약학적 응용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