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R&D Brief 2022-19호] 한의기반 우울감정 조절_기초연구본부 선정 R&D 이슈 연구동향
- 등록일2022-11-15
- 조회수2531
- 분류정책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22-11-11
-
출처
한국연구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한의기반#우울감정
- 첨부파일
[R&D Brief 2022-19호] 한의기반 우울감정 조절 R&D 이슈 연구동향
◈ 목차
⑴ 우울감정은?
⑵ 왜 주목받고 있나?
⑶ 최근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나?
⑷ 최근 국내외 연구 동향
⑸ 기초연구사업 지원 현황
⑹ 향후 기초연구사업 차원에서의 노력
◈본문
1. 우울감정은?
ㅇ 일상적으로 겪을 수 있는 기분 저하 상태가 아니라, 우울감이 지속되면서 신체적, 정신적, 행동적 변화가 수반되는 상태임
ㅇ 우울증의 평생유병률은 남성 3%, 여성 6.9%이며, 일년유병률은 남성 1.1%, 여성 2%(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보건복지부, 2016년)
ㅇ 우울감정은 다양한 원인으로 생길 수 있지만, 최근의 연구 동향은 HPA 축의 활성화, 신경전달물질이나 신경영양인자의 부족, 시냅스의 수와 기능을 감소 등에 집중되어 있음
※ 출처: https://www.frontiersin.org/articles/10.3389/fphar.2020.00586/full, https://www.nct.go.kr/distMental/rating/rating01_2_1.do
▪ 평생유병률: 평생 동안 한 번 이상 질병에 걸릴 확률
▪ HPA axis: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으로 이어지는 내분비계통의 중심축을 말함
▪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 방향족 고리와 아미노기를 가지는 신경전달물질
▪ 시냅스: 한 신경세포가 다른 신경세포로 신호를 전달하는 신경세포접합부
2. 왜 주목받고 있나?
ㅇ 한의학은 인간의 감정이 내부 장기들 사이의 평형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이론을 바탕으로 우울감정을 포함한 다양한 이상 감정을 치료해 왔음
ㅇ 2013년 침이 효과적이라는 임상연구가 발표된 후에(MacPherson et al, PLOS Medicine, 2013), 우울 감정에 대한 한의학 치료의 효과성과 그 기전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됨
ㅇ 특히 최근 COVID-19 대유행으로 인해서 많은 사람들이 우울감정을 느끼고 있으며, 특히 젊은 사람들이 더 큰 영향을 받는다고 보고됨(Porteret al, BMJ Open, 2021)
▪ 경희대학교 채윤병 교수 연구팀은 데이터마이닝 분석을 통해 인간의 감정과 특정 장부의 질병 사이의 연관성을 확인함
▪ 동의보감 전체에서 칠정과 장부 질환과 관련된 조문을 추출,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적용해 감정과 오장의 관련성 정보를 분석하고 시각 화 한 결과, 화남은 간, 기쁨은 심장, 슬픔은 심장과 폐의 질환과 관련성이 높은 것을 확인함
▪ 칠정(七情): 기쁨, 화남, 우울, 사념, 슬픔, 두려움, 놀람의 일곱 가지 감정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