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생활 플라스틱 분해 효소 및 미생물

  • 등록일2022-11-16
  • 조회수3239
  • 분류정책동향 > 화이트바이오 > 바이오환경기술
  • 자료발간일
    2022-11-11
  • 출처
    한국연구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생활 플라스틱#플라스틱 분해효소
  • 첨부파일

  

[R&D Brief] 생활 플라스틱 분해 효소 및 미생물


◈ 목차

⑴ 생활 플라스틱이란?
⑵ 왜 주목받고 있나?
⑶ 최근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나?
⑷ 최근 국내•︎외 연구 동향은?
⑸ 기초연구사업 지원 현황은?
⑹ 향후 기초연구사업에서 어떤 연구들이 필요한가?

  

◈본문

1. 생활 플라스틱이란?

ㅇ 플라스틱(plastics)이란 인간이 인공적으로 만든 고분자로 열과 압력에 의해 쉽게 성형되는 물질/제품을 의미함. 열을 가해서 재가공이 가능한 열가소성플라스틱과 재가공이 어려운 열경화성플라스틱로 나눌 수 있음

ㅇ 음료수 저장용 페트병이나 포장용 스티로폼, 비닐봉지, 배달 음식 포장 용기 등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되는 플라스틱 제품을 생활 플라스틱이라 통칭함

ㅇ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보는 대표적인 생활 플라스틱으로 페트병의 주 구성성분인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스티로폼의 주 성분인 PS(폴리스티렌), 비닐봉지나 비닐장갑 등 비닐 플라스틱의 주 성분인 PE(폴리에틸렌), PP(폴리프로필렌), PVC(폴리비닐클로라이드) 등이 포함됨


2. 왜 주목받고 있나?

ㅇ 플라스틱의 장점으로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이 범람하게 되었고, 사용 후 쉽고 빠르게 쓰레기로 버려지게 되며 일회용 및 소모용 플라스틱으로 인해 지구 환경은 많은 위협을 받고 있음. 이렇게 관리되지 못하고 버려지는 플라스틱은 해양으로 유입되는 전체 쓰레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데, 전 세계의 해안 쓰레기를 수집하여 조사한 결과 약 75%가 플라스틱류일 정도로 지구생태계는 플라스틱에 의해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음

ㅇ 해양으로 유입된 플라스틱 쓰레기는 분해되지 못한 채 장기간에 걸쳐 자외선에 의한 광분해와 부식 및 풍화 작용에 의해 5mm 이하 크기의 미세플라스틱과 이보다 작은 초미세 플라스틱으로 부서지게 됨

ㅇ 미세플라스틱은 작은 크기로 인해 수거가 거의 불가능하여, 이미 해양과 연안뿐만 아니라 갯벌의 퇴적물에서도 발견되고 있고 육지와 식수에서도 미세 플라스틱의 검출이 보고되고 있어 생태계에 미세플라스틱이 광범위하게 오염

되어 있을 것으로 짐작됨

ㅇ 바다 표면에서 플랑크톤을 채취하여 조사하였을 때 플랑크톤 내에 미세플라스틱이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고 플랑크톤을 먹이로 하는 무척추동물과 이를 먹이로 하는 척추동물인 어류에서도 미세플라스틱이 발견되고 있어 생물축적과정을 통한

인체의 미세플라스틱 섭취에 대한 우려가 점차 확대되고 있음

ㅇ 분해성 플라스틱은 물성의 한계로 인해 사용범위가 제한적이고, 제작비용이 높다는 단점이 있어 플라스틱 대체재 기술이 보편화되기 전까지는 합성 플라스틱 분해기술 활용이 플라스틱 폐기물 문제를 대처하는 데 매우 중요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