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KISTEP 이슈페이퍼_대·중소기업의 상생·협력 R&D 활동을 어떻게 촉진할 수 있을까?

  • 등록일2022-11-18
  • 조회수2640
  • 분류정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2-11-16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대・중소기업#R&D 활동
  • 첨부파일
    • pdf [KISTEP+브리프]+대·중소기업의+상생·협력+R&D+활동을+어떻게+촉... (다운로드 84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대・중소기업의 상생・협력 R&D 활동을 어떻게 촉진할 수 있을까?


 

◈ 목차

Ⅰ. 작성배경

Ⅱ. 대・중소기업 R&D 협력 현황과 문제점

Ⅲ.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R&D 인식 및 수요 조사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

[요약]


Ⅰ. 작성 배경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은 경제성장의 원동력이며, 중소기업은 자체적인 기술혁신 외에도 대기업과 R&D 협력을 통해 벨류체인의 확장을 모색

▪정부는 대・중소기업의 상생・협력 R&D 활동을 지원하고 있으나, 상생협력정책 및 기술혁신 정책 맥락에서 독자적인 정책 영역으로서 위상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으며, 체계적 방향 모색도 부족한 실정

▪대・중소기업의 R&D 협력에 관한 현황, 인식, 수요를 전반적으로 분석하여 개방형 혁신의 활성화 차원에서 정책적 방향을 모색할 시점


Ⅱ. 대・중소기업 간 상생・협력 R&D의 현황 및 인식

▪(현황) 중소기업은 대기업과 기술협력 만족도(69.0%)가 높으나, 실제 협력 비율(6.4%)은 낮은 수준

- 정부 R&D 과제 중 대・중견기업이 중소기업과 협력하여 집행한 연구비(1,642억원)는 기업이 집행한 연구비(4조 8,810억원)의 3.4% 수준('19)

▪(산업연관분석)대・중소기업별 R&D 투자 상위 10대 산업을 중심으로 산업연관분석을 통해 대・중소기업의 상호 연관성이 높은 산업을 확

- (대기업 → 중소기업 생산유발효과 촉진 산업) 전자・전기・통신, 자동차, 화학제품, 전기장비, 기계장비 등

- (중소기업→대기업 생산유발효과 촉진 산업) 석탄・석유제품, 의약품, 금속제품, 고무・플라스틱 등

⇨ 산업연관분석을 통해 대・중소기업 간 R&D 협력이 긴밀하리라 예상되는 9개 산업군을 식별하여 이를 중심으로 FGI 및 심층인터뷰 시도

▪(FGI 및 심층인터뷰) 8개 중소기업, 5개 대기업을 대상으로 FGI 및 개별기업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여 R&D 협력의 인식, 쟁점, 방향 등 도출

- 중소기업은 대기업과의 R&D 협력을 성장의 기회로 인식하고 있으나, 새로운 협력관계 진입에 애로를 호소하고 있으며, 협력 과정에서도 불공정 및 보안유출 등 우려를 제기

- 대기업도 중소기업과 R&D 협력을 필요로 하나, 신뢰할만한 협력 대상기업 발굴에 애로를 겪고 있으며, 정부 R&D 지원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인정하면서도 제도적 보완책이 필요하다는 의견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