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Issue Briefing] 백신 주권을 위한 길

  • 등록일2022-11-30
  • 조회수2759
  • 분류정책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22-11-23
  • 출처
    한국바이오협회
  • 원문링크
  • 키워드
    #백신 #성공불융자제도
  • 첨부파일

 

백신 주권을 위한 길


 ◈본문


◇ 한 언론을 통해 SK바이오사이언스가 개발한 국산1호 코로나19 백신(스카이코비원) 생산이 잠정 중단된다고 보도

  - 팬데믹이 엔데믹으로 전환되면서 확진자가 줄고, 오미크론 변이가 우세종이 되면서 당초 오리지널 바이러스에 대응해 개발된 백신(스카이코비원)에 대한 수요 급감이 원인

  - WHO 긴급사용목록 등재 지연되고 있으며 향후 해외승인 등에 대비해 원료 생산은 지속


◇ SK바이오사이언스의 코로나19 백신 생산 중단이 국내 바이오산업계에 가져올 더 큰 여파는 후발 기업들의 백신개발 추진력 저하 및 이로 인한 백신 주권 지연

  - 코로나 19 백신 후발기업으로 향후 백신 개발 성공시에도 사업적(경제적) 불확실성이 높아져 국내 기업들의 백신 개발 의욕이 떨어지고 이로 인해 향후 또다른 팬데믹에 대한 국내 대응력 미비 예상

 

◇ 연구개발 성공률이 낮고 개발에 성공하더라도 경제성이 낮은 분야, 특히 보건안보와 직결되는 분야는 성공불융자❶나 지원·구매❷에 있어 정부차원의 혁신적인 지원방안 필요


❶ 성공불융자제도

- 정부가 개발리스크의 일부를 분담하는 제도로 해외자원개발 등에 적용 중

- 장기간이 소요되고 높은 실패위험이 있는 백신 개발에 정부차원에서 리스크 분산 가능

(성공시 정부지원금의 일부를 회수하되 실패시에는 0% 회수)


❷ 다년간의 지원·구매 프로젝트(사례 : 미국 바이오쉴드 프로젝트)

- 국가 안보를 위해 필요한 의약품을 민간 기업이 연구, 임상, 제조, 조달할 수 있도록 다년간 지원하는 민간지원 인센티브 프로그램으로 Project Bioshield Act가 2004년 7월 21일 발효되면서 시행되고 있음.

- 현재까지 30개의 프로젝트를 지원하였고, 22개 의약품이 FDA 허가를 받았으며, 18개 의약품이 전략적 국가 비축 물량에 포함됨.

- 예산은 2004년-2013년 56억 달러, 2014년-2018년 28억 달러, 2019년-2029년 71억 달러 집행 계획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