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제6호 BIO-IP ISSUE PAPER

  • 등록일2022-12-28
  • 조회수2595
  • 분류정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2-12-27
  • 출처
    국가지식재산 위원회
  • 원문링크
  • 키워드
    #Bio-IP 이슈
  • 첨부파일

 

제6호 BIO-IP ISSUE PAPER


 

◈ 목차

I. 들어가며 Issue paper의 구성

II. Hot Issue - 허가특허연계제도(중국/대만)의 소개 및 국내 파급효과에 대한 전망 

들어가며

대만의 허가특허연계제도 

중국의 허가특허연계제도 

국내 파급효과에 대한 전망 마치며 

III. 심층 Study - 엑소좀 주요 기술 동향 분석과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한 고찰 

엑소좀 관련 배경 설명 

엑소좀 주요 기술분야 및 플레이어 분석 

각 분야에 대한 주요 기술 개발 방향 분석

Ⅳ. 인물/기업탐구 - 미리어드생명과학, 제약·바이오 전문 “Company Builder” 형 액셀러레이터와 창업 생태계 내 역할 

미리어드생명과학의 탄생과 성장 

제약·바이오 스타트업 생태계와 미리어드생명과학의 역할 

Company Builder형 엑셀러레이터의 스타트업 창업 및 성장 지원 

마치며

 V. 정책/지원/인프라 - 서울 홍릉 강소연구개발특구의 혁신생태계 구축 전략 

추진배경 및 필요성 

추진전략과 운영 성과 

향후 전망과 과제 

VI. 바이오-IP 동향 – TPD(Targeted Protein Degrader) 분야의 IP 빅데이터 분석 및 특허등급평가 기반 주요 특허 소개 

TPD 기술 동향 

TPD 기술에 대한 특허 동향 

TPD 기술 관련 특허에 대한 IP 빅데이터 관점의 특허 분석 

결론 

 

 

◈본문

I. 들어가며

BIO-IP ISSUE PAPER 제6호에서는 IP 동향과 정책 및 제도, 기업 탐구를 중심으로 주요 이슈를 선정하여 다루었다.

첫 번째 이슈는 ‘허가특허 연계제도(중국/대만)의 소개 및 국내 파급효과에 대한 전망’을 주제로 하였다. 최근 새로운 의약품 시장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중국과 바이오 의약품의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는 대만의 허가특허연계제도를 소개하고 국내 파급효과에 대해 전망해보고자 한다.

두 번째 이슈는 ‘엑소좀 주요 기술 동향 분석과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한 고찰’로 차세대 치료제 개발 기술로 꼽히는 엑소좀 관련 해외 연구 및 기술 개발 분야를 소개하고 개발 방향성에 대해 분석을 다루고 있다. 각 분야의 핵심 플레이어를 소개하면서 국내 엑소좀 관련 기업의 R&D 방향성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세 번째 이슈는 ‘미리어드생명과학, 제약·바이오 전문 “Company Builder” 형 액셀러레이터와 창업 생태계 내 역할’을 주제로 하였다. 제약·바이오 스타트업 창업 생태계 및 액셀러레이터의 역할에 대해 소개하고 '미리어드생명과학'이 한국 바이오 스타트업의 창업과 성장에 어떻게 기여할 것인지를 설명하고자 한다.

네 번째 이슈는 ‘서울 홍릉 강소연구개발특구의 혁신생태계 구축 전략’을 주제로 하였다. 서울시의 유일한 ‘강소연구개발특구’인 홍릉 강소특구를 소개하고 홍릉 강소특구의 4가지 핵심 성장전략을 소개하고 이에 따른 운영 성과 및 바이오 클러스터의 향후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다섯 번째 이슈는 ‘TPD(Targeted Protein Degrader) 분야의 IP 빅데이터 분석 및 특허등급평가 기반 주요 특허 소개’를 주제로 하였다. TPD 관련하여 국내 외 특허 현황과 주요 기관들의 특허 보유 현황 및 특허등급평가 기반의 주요 특허를 확인하고, TPD 관련 특허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TPD 관련 주요 기관들이 어떤 핵심 사항으로 권리 범위에 집중하고 있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