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과학문화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책 방향성 모색
- 등록일2023-01-06
- 조회수2570
- 분류정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2-12-26
-
출처
한국과학창의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문화산업#콘텐츠산업#복합문화공간
- 첨부파일
과학문화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책 방향성 모색
과학문화가 산업으로서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가?
◈ 목차
⑴ 들어가며
⑵ 과학문화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한 정책적 제언
- 과학문화, 산업화를 위해 필요한 조건은 무엇인가?
- 과학문화산업의 투자 현황과 투자 활성화 방안
- 문화콘텐츠산업의 지원정책 사례를 통해 본 과학문화산업 활성화방안
⑶ 과학문화산업 현장의 목소리를 듣다.
◈본문
2. 과학문화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한 정책적 제언
과학문화, 산업화를 위해 필요한 조건은 무엇인가?
이근영(사이콘 대표)
과학문화 산업화를 고민하기 위해서는 과학문화라는 '업의 정의'를 먼저 살펴보아야 한다.
'과학'은 자연에 대한 앎의 방식이고 '기술'은 과학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삶의 방식이라 정의한다. '문화'는 사회구성원이 습득, 공유, 전달하는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생활양식이나 상징을 의미한다. 인류는 과학을 통해 자연을 이해하고 기술을 통해 자연과 공존한다.
결국 '과학문화산업'은 과학기술과 관련된 삶의 양식의 객관성과 합리적 사고방식에 기반한 과학적 가치를 이해하는 삶의 태도와 소양을 키우는 산업이다. 과학기술의 사회 수용성을 높여 국민의 이해를 촉진하는 과학 친화적 사회문화를 조성하는 삶으로서의 과학으로 확산하는 산업이라 할 수 있다.
'과학문화산업'은 과학에 대한 대중의 관심과 이해 그리고 참여와 향유를 이끄는 다양한 문화적 접근을 통해 활성화될 수 있다. 과학문화산업의 발전요인은 콘텐츠, 플랫폼, 복합문화공간, 전문인력양성, 상품 개발 및 판로 개척 그리고 자본 투자 등 통해 산업적 자원들이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며 선순환 생태계를 이룰 때 가능하다.
첫째, '과학문화 전문인력'이 필요하다. 과학문화 전문 인재들이 주도적인 플레이어로서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그 간의 과학문화 전문인력은 과학문화 소비 확산을 위한 콘텐츠 생산인력 양성에 집중됐다. 지속적인 양적 성장과 비교하면 실제로 과학문화 산업현장에서 경제와 고용 가치를 창출하는 본업으로서 전문인력의 지속성과 확장성은 저조한 실정이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글로벌 나노기술 정책 및 기술 동향 22년 12월호] 일본, '통합 이노베이션 전략 2022'
-
다음글
- [GT주간브리프-워싱턴] 美 PCAST, 바이오경제 발전을 위한 바이오제조에 관한 보고서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