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글로벌 나노기술 정책 및 기술 동향 22년 12월호] 일본, '통합 이노베이션 전략 2022'
- 등록일2023-01-09
- 조회수2691
- 분류정책동향 > 생명 > 생물공학
-
자료발간일
2023-01-02
-
출처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일본#나노기술#이노베이션 전략
[글로벌 나노기술 정책 및 기술 동향 22년 12월호] 일본, '통합 이노베이션 전략 2022'
일본의 「제6기 과학기술 이노베이션 기본계획」
◈ 목차
Ⅰ. 정책 브리핑: 일본
【통합 이노베이션 전략 2022】
Ⅱ. 나노분야 주요 뉴스(12월)
▶ 국외 동향
▶ 국내 동향
Ⅲ. 나노통계
【2021년도 나노기술 통계자료집】-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2022년 11월 발간)
◈본문
▶일본 내각부는 일본의 「제6기 과학기술 이노베이션 기본계획」에 근거하여 2022년 6월 '통합 이노베이션 전략 2022'를 발간
⊙ 최근 국내외 정세 변화 및 추이를 반영한 국가 과학기술 정책을 재검토하고, 과학기술·이노베이션 창출 진흥에 관한 주요 시책 현황 부넉과 향후 대응 방침 등을 종합하여 'Society 5.0'1)을 향한 과학기술·이노베이션 정책을 강력하게 추진
▶ [제1장] 「새로운 자본주의」에서 '성장'과 '분배'의 선순환을 지지하는 과학기술 이노베이션
⊙ (정권의 어젠다) 지속가능성과 「사람」을 중시하고 새로운 투자와 성장으로 이어지는 「새로운 자본주의」 구축을 위해, '종합지식에 의한 사회 변혁' 및 '지식·사람에 대한 투자'의 선순환이라는 방향성으로 과학기술·이노베이션 정책의 '성장'과 '분배'의 선순환을 구현
<정권의 어젠다 구현을 위한 중점 시책>
(1) (지식 기반(연구력)과 인재 육성 강화) 지식 기반과 인재 육성 강화를 통해 과학기술·이노베이션과 가치 창조의 원천이 되는 '지식'을 지속적으로 창출
- 국제적으로 탁월한 연구대학 형성 및 지역 핵심 대학이나 특성화 대학 기능을 강화하여 기초연구와 다층적 지식 기반을 구축하고, 탐구·STEAM 교육의 근본적 강화와 리커런트(recurrent) 교육의 내실화 및 환경 정비 췬
(2) (이노베이션·에코시스템 형성) 경제사회 활성화 도모를 위해 딥테크(deep tech)나 디지털 분야의 스타트업이 잇달아 생겨 성장하는 스타트업·에코시스템을 근본적으로 강화
- 스타트업에 대한 철저한 자원과 민간자금을 포함하는 자금 순환 촉진 및 자금 순환 활성화에 의한 연구개발 투자 확대
(3) (첨단 과학기술의 전략적 추진) 싱크탱크(think tank) 기능의 강화를 통해 일본 경제 구조의 자율적 향상, 기술의 우위성 확보와 함께 중요 기술의 연구개발을 전략적으로 추진
- AI, 양자기술의 새로운 전략 책정이나 첨단 주요 기술에 관한 조사·분석을 실시하는 등 국가적 주요 과제에 대한 대응을 추진하고, 기후변화 문제 및 다양한 에너지원의 활용 등 글로벌 과제 극복을 위한 사회 변혁과 종합지식을 활용하는 기능을 강화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