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주간농업농촌식품동향] 푸드테크 10대 핵심기술 분야 연구개발 사업 추진

  • 등록일2023-01-11
  • 조회수2852
  • 분류정책동향 > 생명 > 농림수산식품학
  • 자료발간일
    2023-01-09
  • 출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푸드테크#농식품부#조류인플루엔자#스마트농업
  • 첨부파일

 

 

[주간농업농촌식품동향] 푸드테크 10대 핵심기술 분야 연구개발 사업 추진

2023년 농식품부 업무계획 외

 

◈ 목차

정책동향

• 2023년 농식품부 업무계획

• 2023년 윤석열 대통령 신년사

• 2023년부터 이렇게 달라집니다

• 2023년 재정사업 성과관리 추진계획

• 설 민생안정대책

• 2023년 일자리 예산 30.3조 원

• 2023년 청년마을 만들기 지원사업 공모

• 고향사랑의 날’ 국가기념일로 지정·운영

• 2023년 정황근 농식품부 장관 신년사

• 푸드테크 10대 핵심기술 분야 연구개발 사업 추진

• 2023년 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 통합공고

• 조류인플루엔자(AI) 주요 동향

아젠다발굴

• [기획트렌드 ❙ 2023 국회입법조사처 올해의 이슈

• 미국 농업·농촌·식품 동향 ❙ 세계농업 생산량 증가율 감소

• 일본 농업·농촌·식품 동향 ❙ 미도리(녹색품종 육성 방침

• 언론 동향 ❙ 2022년 농업·농촌 10대 뉴스

통계·조사

• 2022년 농수산식품 수출액 

 

◈본문

정책동향2023년 농식품부 업무계획

자료: 농림축산식품부(2023.1.4.)

□ 개요

○ [농식품부, 2023년 업무계획 보고, 2023.1.4.] 농식품부는 2023년 1월 4, ‘멈추지 않는 농업 혁신미래로 도약하는 K-농업!’을 만들기 위한 2023년 업무계획을 보고

- (정책 방향➊ 굳건한 식량안보 확보➋ 농업의 미래성장산업화➌ 든든한 농가경영안전망 구축➍ 새로운 농촌공간 조성 및 동물복지 강화의 4가지 정책 과제를 중점 추진

 

□ 주요 내용

1. 굳건한 식량안보 확보

1-1. 식량자급률 제고

○ 농식품부는 지속적으로 하락 중인 식량자급률을 상승세로 전환하여 2027년에 식량자급률 55.5%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설정이를 위한 정책적 지원을 대폭 확대

※ 식량안보 관련 예산: (2022) 1,972억 원 → (2023) 3,489

○ ❶ [수입 의존도가 높은 주요 곡물의 국내 생산 및 비축 확대구조적 쌀 공급과잉 완화식량안보 기능 강화를 위해 논에 밥쌀 대신 가루쌀··콩을 재배할 경우 50~430만 원/ha을 지원하는 전략작물직불(1,121억 원)을 신규 도입

※ (이모작논에 동계(조사료)+하계작물(논콩가루쌀재배 시 ha당 250만 원 지원

※ (단작하계조사료 ha당 430만 원동계작물 ha당 50만 원논콩가루쌀 ha당 100만 원 지원

쌀 재배면적을 줄이고 밀을 대체할 수 있는 가루쌀 생산을 본격 확대하기 위해 전문생산단지 39개소를 신규 지정하여 재배면적을 2,000ha로 확대동시에 기업의 가루쌀 신제품 개발 전 과정을 지원하여 중장기적으로 새로운 소비기반을 구축농식품부는 2027년까지 밀가루 수요의 10%를 가루쌀로 대체할 계획

 전문생산단지(2022 → 2023, 개소): () 51 → 73, () 122 → 170

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나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밀과 콩의 생산을 확대하고 밀 등 주요 곡물의 비축도 확대하는 등 생산구조를 획기적으로 전환

 비축물량(2022 → 2023, 천 톤): () 17 → 20, (가루쌀) 0 → 10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