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미국의 바이오제약 산업 육성 정책과 시사점
- 등록일2023-01-30
- 조회수2941
- 분류정책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23-01-19
-
출처
KOTRA
- 원문링크
-
키워드
#미국#NBBI#캔서 문샷
- 첨부파일
미국의 바이오제약 산업 육성 정책과 시사점
◈ 목차
제1장 조사 배경 및 목적
제2장 미국 바이오제약 산업 동향
제1절 바이오제약 산업 개요
제2절 바이오제약 시장 동향
제3장 미국의 바이오제약 산업 육성 정책
제1절 국가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이니셔티브(NBBI)
제2절 국가 바이오방어전략 행정명령
[참고] 백악관 공급망 100일 점검보고서 및 CFIUS 행정명령
제4장 현지 분석 및 시사점
제1절 현지 분석 및 전망
제2절 평가 및 시사점
[참고1] 미국 바이오제약 분야 진출·지원 프로그램
[참고2] 전문가 인터뷰(한미생명과학인협회(KAPAL))
◈본문
Ⅰ 조사 배경 및 목적
□ (조사 배경 및 목적) 미국 정부의 잇따른 자국 산업 육성 정책 발표로 관련산업의 광범위한 영향이 예상됨에 따라 현지 분석을 기반으로 시사점 도출
◦ 특히 미국, EU, 중국 등 주요국 간 혁신 경제 분야의 기술, 제조 및 공급망 확보경쟁이 가속화 되는 가운데 백악관 행정명령 등 자국의 연구·제조 원칙 확대 중
◦ 동 보고서에서는 먼저 미국의 바이오제약 산업 및 제조업 동향을 살펴보고, 미국의 주요 바이오제약 산업 육성 정책을 분석, 우리기업 대상 시사점을 도출
□ (조사 대상) 국가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이니셔티브(NBBI) 등
◦ 백악관, 바이든 대통령 최종 서명으로 9월 12일 ‘국가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이니셔티브’ 법안 발효, 연방정부 차원의 정책 추진 선언
- 미국에서 발명한 제품을 미국 내에서 생산하도록 하는 행정명령으로각 부처별 이행계획 발표 및 행정명령 이행을 위한 예산 책정
- 바이오방어전략 등 해외 공급망 의존도 감소 노력은 계속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미국 내 일자리 창출과 더불어 바이오제조 혁신 노력 강조- 바이오의약품까지도 자국 내 연구·제조 원칙을 확대하는 등 미국의 공급망 강화 전략을 통해 바이오 경제 전반의 미국 경쟁력 확장 추구
□ (정책 환경) 바이오경제를 포함한 혁신경제 분야 기술 및 공급망 확보경쟁 가속화
◦ 최근 중국 바이오기술 경쟁력 견제와 동시에 미국의 바이오경제 및 혁신 분야경쟁력 우위 확보 강화 노력 계속
- ‘반도체 및 과학법(CHIPS and Science Act)’을 기반으로 한 혁신 주요 산업 경쟁력 강화 노력 실시, 법안 내 ‘바이오 경제 연구개발’ 분야 포함
- ‘인플레이션 감축법(Inflation Reduction Act)’ 내 보건의료 분야 개선 정책 제시, 처방 의약품 가격 인하, 보건비용 부담 완화, 특정 의약품 가격 인상 제한 등의료비 절감 및 접근성 제고 정책 다수 추진 중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 BioINwatch 미국 ARPA-H가 추진하고 있는 23개 프로그램 2025-04-24
- BioINwatch 미국 정부효율부(DOGE)의 R&D 예산 및 인력 축소 정책 2025-04-16
- BioINpro [국내·외 BT 투자 및 정책 동향] 2025년 미국 정부 R&D 예산(안) 2025-02-19
- BioINwatch 시행 가능성이 높아진 미국의 생물보안법(US Biosecure Act), 바이오산업 공급망 재편 압박 2024-12-04
- BioINpro [바이오 산업] 미국 생물보안법 입법화와 국내 바이오산업의 대응방향 2024-11-22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