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ICCON 감염예방소식지_2023년 1월호] 보건 시스템 전반에 걸친 중증 급성 호흡기 코로나바이러스 바이러스2(SARS-CoV-2) 무증상 감염에 대한 입원시 선별검사 등

  • 등록일2023-02-06
  • 조회수2483
  • 분류정책동향 > 생명 > 보건의료학
  • 자료발간일
    2023-01-28
  • 출처
    질병관리청
  • 원문링크
  • 키워드
    #코로나 19#무증상#선별검사
  • 첨부파일

 

 

보건 시스템 전반에 걸친 중증 급성 호흡기 코로나바이러스 바이러스2(SARS-CoV-2) 무증상 감염에 대한 입원시 선별검사

ICCON 감염예방소식지_2023년 1월호

 

◈ 목차

01 권역 네트워크 소개

  경북권역 네트워크

02 국내외 감염병 뉴스 및 지침

  국내 감염병 뉴스

  해외 감염병 뉴스

  개정 법령·지침

03 유행 대처 사례

  Carbapenem-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CRAB) 유행사례

04 논문 리뷰

  보건 시스템 전반에 걸친 중증 급성 호흡기 코로나바이러스 바이러스2(SARS-CoV-2) 무증상 감염에 대한 입원시 선별검사

 

◈본문

무증상 코로나바이러스 2019(COVID-19) 환자는 의료 시스템을 통해서도 중증 급성 호흡기 코로나바이러스 2(SARS-CoV-2)를 전파시킬 수 있다코로나 19 팬데믹 초기에 무증상 SARS-CoV-2 감염에 대한 우려는 병원 입원 시 환자를 위한 보편적인(증상이 있는 환자 및 무증상 환자실험실 시험 기반 선별 프로그램의 시행으로 이어졌다이 전략의 주요 목표는 적절한 격리 및 기타 감염 예방 조치의 조기 식별과 차후의 신속한 개시를 통해 무증상 환자로 인한 SARS-CoV-2의 병원 내 확산을 방지하는 것이다그러나 이러한 중재는 불필요한 치료 지연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이용 가능 자원에 부담이 될 수 있다.

특히 안면 마스크의 보편적인 사용방문자 제한환경 청결 및 백신과 같은 SARS-CoV-2의 확산 방지를 위한 다른 통제의 체계를 사용하는 경우무증상 코로나 19에 대한 입원 선별을 둘러싼 비용과 재정 문제가 이런 시험의 이점보다 중요한지 여부는 불분명 하다.

SARS-CoV-2 감염에 대한 보편적인 입원 선별의 영향을 조사한 선행연구는 (1) 코로나 19 팬데믹 초기에 시행한 짧은 연구 기간(몇 주에서 몇 개월), (2) 단일 병원 환경에서의 연구, (3) 코로나 19 지역 사회 발병률이 낮은 기간 동안 평가 방식에 의해 제한적이다.

지속적으로 코로나 19 활동의 확산과 감속이 반복되기 때문에입원 선별 프로그램의 경험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다양한 환자 집단 간 또는 지역사회 감염 발생률이 다른 기간 동안 프로그램 영향의 차이를 정의하는 것은 미래 코로나 19의 급증에 대한 시험실험실 및 인적 자원 사용에 대한 결정에 도움이 될 것이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