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미국의「오픈사이언스의 해」 선포와 정책적 시사점

  • 등록일2023-02-15
  • 조회수2506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3-02-06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오픈사이언스#미국
  • 첨부파일
    • pdf [KISTEP+브리프]+미국의+「오픈사이언스의+해」+선포와+정책적+시사... (다운로드 84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미국의「오픈사이언스의 해」 선포와 정책적 시사점

KISTEP 브리프 59

 

◈ 목차

⑴ 미국의 「오픈사이언스의 해」 선포의 주요 내용

⑵ 우리나라 오픈사이언스 주요 정책 추진내용

⑶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본문

미국의 오픈사이언스의 해」 선포의 주요 내용

○ 미국의 과학기술정책실(OSTP;Office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은 개방적이고 공정한 연구 (Open and Equitable Research)를 도모하기 위해 2023년을 오픈사이언스의 해(The Year of Open Science)’로 선포(’23.1.11.)1)

국민의 세금으로 지원된 연구결과에 대한 접근성 제고대중의 신뢰 증진공정한 연구결과 (Equitable result)를 통해 발견(Discovery)과 혁신(Innovation)을 가속화하여 반도체법 (CHIPS and Science Act),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Inflation Reduction Act)과 함께 미국의 전략적 이익을 확보하는 수단으로 오픈사이언스를 제시

○ OSTP와 국가과학기술위원회(NSTC)는 정부 전반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오픈사이언스에 대한 통합된 공식적인 정의를 발표하였는데공개공유의 가치에 더해 보안을 강조

- (오픈사이언스 정의) "다양한 문화를 존중하고보안과 프라이버시를 유지하며협력과 재현성형평성을 추구하여 연구 제품과 프로세스를 모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원칙과 관행(“The principle and practice of making research products and processes available to all, while respecting diverse cultures, maintaining security and privacy, and fostering collaborations, reproducibility, and equity.”)”

 

[참고오픈사이언스 정책

∙ 2000년대 초반논문에 대한 오픈엑세스(Open Access)정책이 논문뿐만 아니라 공적자금이 투입된 연구데이터연구수단 등에 대한 공개를 요구하는 오픈사이언스(Open Science), 개방형 연구 협력 및 소통을 장려하는 오픈 콜라보레이션(Open Collaboration) 정책으로 진화(신은정 외, 2017)

∙ 2006년 OECD 이사회는 공공자금이 투입된 연구데이터 접근에 대한 권고안 (‘Recommendation on Access to Research Data from Public Funding’)을 채택

- 2021년 개정된 권고안은 1)데이터 거버넌스, 2)데이터 표준, 3)보상, 4)소유권, 5)비즈니스 모델, 6)제도 및 인적 역량, 7)국경을 초월한 민감데이터 교환에 대해 적시

∙ OECD(2020)는 공적자금이 투입된 연구데이터에 대한 접근성 강화정책은 프라이버시(privacy), 지식재산권국가안보공익(public interest)에 반하지 않는 균형을 강조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