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주요국 인공지능 R&D 정책동향 외
- 등록일2023-02-21
- 조회수2777
- 분류정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3-02-08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인공지능#AI
- 첨부파일
주요국 인공지능 R&D 정책동향 외
제231호 과학기술&ICT동향
◈ 목차
① 이슈 분석: 주요국 인공지능 R&D 정책동향
② 주요 동향
1. 과학기술
미국, 2023년 과학기술 분야 연구 및 정책 이슈 발표
미국, 에너지부의 2022년 주요 성과 발표
일본, 중국의 반도체 산업 주요 정책 정리
중국, 지식재산권 보호 규범화 시장 창설 시범 관리 방법 발표
중국, 2022 블록체인 백서 발표
독일, 주요국의 수소 전략 분석
EU, 의료분야 인공지능 기술 검증을 위한 TEF-Health 프로젝트 추진
OECD, 디지털 전환기 권리 보호를 위한 도전과제 보고서 발표
2. ICT
MIT, 2023 10대 혁신기술 발표…ICT 영역은 5개 부문
애플, 디스플레이・반도체 등 부품 내재화 속도내며 생태계 강화
초거대 AI 대화형 ‘챗GPT’…검색엔진 시장에 미칠 영향 주목
‘우주국’ 설립 등 우주산업 선도…韓 우주경제 로드맵 이행 박차
글로벌 주요국, 반도체 산업 육성・투자 촉진 위한 행보 활발
③ 단신 동향
1. 해외
2. 국내
④ 주요 통계
◈본문
Ⅰ 주요국 인공지능 R&D 정책동향1)
■ AI 기술은 신산업 성장 동력이자 사회경제의 지속성장을 위한 핵심기술로서 주목
○ AI 기술이 단순 기술을 넘어 사회적・경제적 패러다임 변화를 초래하는 기폭제로 작용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AI 기술 도입 확산
※ AI 활용 기업의 비율이 ’21년 56%에 도달(’17년 20%), 특히 ’20년 이후 기업의 AI 채택이 가장 빠르게 증가(맥킨지, ’21)
- AI 기술은 제조 프로세스 최적화, 고객 맞춤형 서비스 등 기업 경쟁력 향상 뿐아니라 자율주행차, 드론, 메타버스 등 새로운 신산업을 지속 창출하는 데 기여
- 기후변화, 고령화 등 국제사회의 다양한 난제를 분석하고 해결방안을 탐색하는데에도 AI 기술 적용 및 성공 사례 증가
※ AI 기업 딥마인드의 ‘알파폴드’는 단백질 3차원 구조 예측 분야의 50년 난제를 해결.
향후 암, 당뇨병, 항생제 내성 질병 등 의료 분야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 코로나 팬데믹을 거치면서 산업 전반의 디지털화 진전과 함께 기업과 개인의 AI 활용이 보편화되면서 상업적 AI 활용 본격화
- AI 기술 활용으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창출 등 긍정적 효과가 유발됨에 따라 AI 원천기술 개발과 전문인력 확보를 위한 주요 기업 경쟁도 치열
- 산업계에서는 미국의 빅테크 기업(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페이스북, 테슬라 등)이 중심이 되어 대규모 AI 투자와 응용서비스 발전 견인
■ AI 리더십 선점을 위한 글로벌 정책 환경 변화와 R&D 투자 확대도 가시화
○ 주요국들은 AI 기술을 국가안보와 사회경제 시스템의 필수기술로 인식, 중장기 전략을 수립하여 연구개발에 집중적으로 투자
- 미국은 국가안보와 기술우위 전략 차원에서 AI 중요성을 인식, 미국 혁신경쟁법 (’21.6)에서 10대 전략기술을 선정하면서 첫 번째 과제로 AI 선정
- EU, 중국, 일본 등도 국가전략에서 AI를 전략기술로 지정하고, 기술경쟁력 확보 정책을 강화
○ 민간 영역에서도 AI 기술 분야에 대한 치열한 연구개발 및 투자 경쟁 전개
- 지정학적 긴장 정세에서도 미국과 중국이 국제연구협력을 주도 중
- AI 기업 투자 급증, 초거대 AI 모델 증가 및 AI 이용의 보편・확산 가시화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 BioINwatch 디지털 기술(인터넷, AI 등)이 기억력과 학습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2025-04-22
- BioINwatch 어떻게 하면 단백질 구조 만큼 RNA 구조도 정확히 예측할 수 있을까? 2025-04-03
- BioINwatch AI 기반 De novo 단백질 설계를 통한 항독소 치료제 개발에 관한 연구 2025-03-11
- BioINwatch 바이오신약 개발을 혁신할 AI 단백질 언어 모델 2025-02-14
- BioINpro [KRIBB 워킹그룹] 2024 인공지능을 활용한 신약재창출 연구동향 2025-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