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한국의료패널로 본 헬스 리터러시 실태와 정책적 시사점
- 등록일2023-03-09
- 조회수2659
- 분류정책동향 > 생명 > 보건의료학
-
자료발간일
2023-02-01
-
출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헬스 리터러시#의료패널
- 첨부파일
한국의료패널로 본 헬스 리터러시 실태와 정책적 시사점
◈ 목차
1. 들어가며
2. 한국의료패널 헬스 리터러시 부가조사 개요
3. 헬스 리터러시 수준
4. 건강정보 탐색 경험 및 탐색 경로
5. 나가며
◈본문
헬스 리터러시는 자가 건강관리, 의료이용에 대한 접근성, 의료서비스 제공자와 환자 간 상호작용 등에 영향을 미치며 건강 행동, 의료이용 행태, 건강 결과의 주요 영향요인으로 작용한다. 이 글에서는 2023년도 상반기에 공개될 2021년도 2기 한국의료패널 2차 조사의 헬스 리터러시 부가조사를 소개하고 주요 결과 및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19세 이상 성인의 절반 정도가 건강정보에 접근하여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이해하고, 적합한 정보인지 판단해 활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사회경제적으로 취약한 경우 이러한 헬스 리터러시 수준이 더욱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헬스 리터러시 증진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과 정책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며, 의료이용 및 의료비 지출과 함께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포함하는 한국의료패널의 헬스 리터러시 부가조사 자료가 관련 연구와 정책 수립의 근거 자료로 널리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1. 들어가며
헬스 리터러시는 ‘건강정보에 접근하여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고, 정보를 이해하고, 적합한 정보인지 판단해 건강관리와 질병 예방, 의료서비스 이용에 활용하는 복합적인 능력’을 의미한다(Sørensen, Van den Broucke, Fullam, Doyle, Pelikan, Slonska, Brand, 2012; 최슬기, 김혜윤, 황종남, 채수미, 한겨레, 유지수, 천희란, 2020 재인용).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헬스 리터러시를 ‘개인이 좋은 건강 상태를 유지하고 증진하기 위하여정보를 얻고,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는 동기와 능력을 결정하는 인지적, 사회적 기술’로 정의하였다(Nutbeam, 1998; 이주열, 2019 재인용).
헬스 리터러시는 자가 건강관리, 의료이용에 대한 접근성, 의료서비스 제공자와 환자 간 상호작용 등에 영향을 미치며 건강 행동, 의료이용 행태, 건강 결과의 주요 영향요인으로 작용한다(Paasche-Orlow, Wolf, 2007; Berkman, Sheridan, Donahue, Halpern, Crotty, 2011; Zhang, Terry, McHorney, 2014; 천희란, 이주열, 2020; 최슬기 외, 2020). 이에 미국, 캐나다 및 독일, 네덜란드, 스페인 등의 유럽 국가들에서는 국가 차원의 헬스 리터러시 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30의 중점과제 중 하나로 ‘건강정보이해력 제고’를 선정하고, 주요 추진사항으로 국내 건강정보 이해능력 조사도구 개발 및 실태조사를 통한 건강정보 이해능력에 대한 모니터링을 포함하였다(이주열, 2020;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n.d.). 하지만 현재까지 국내 헬스 리터러시에 관한 조사의 대부분은 특정 집단을 대상으로 하여 이루어져 왔으며, 한국의료패널과 같이 전국 규모의대표성을 지닌 표본을 대상으로 한 조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2021년도 2기 한국의료패널 2차 조사에서는 헬스 리터러시에 관한 부가조사를 실시하였다. 한국의료패널 조사는 2008년 이후 우리나라 국민의 의료이용 실태와 의료이용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에 대해 지속적인 조사를 하고 있으며, 매년 조사하는 조사영역 및 항목 이외에도 조사 시점의 보건의료 환경 및 정책 상황을 고려하여 부가조사를 수행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2023년도 상반기에 공개될 2021년도 2기 한국의료패널 2차 조사의 헬스 리터러시 부가조사를 소개하고 주요 결과 및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