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기업 주도 디지털 전환을 위한 일본 정부 정책

  • 등록일2023-04-05
  • 조회수2302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기업 주도 디지털 전환을 위한 일본 정부 정책

KIAT 애자일 2023년 제 2호

 

◈ 목차

1. 추진배경

2. 기업 DX 정책의 흐름

3. 세부 추진방안

4. 시사점

 

 

◈본문

[애자일] KIAT 산업기술정책단 정책기획실(’23.03.17)

 

◆ 일본은 사회산업의 디지털 전환(DX) 달성을 위하여 전방위적인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경제산업성은 산업기업의 디지털 전환 정책의 일환으로 기업 내부로부터의 자발적 전환을 유도하는 정책 추진 중

◆ 기업의 레거시 시스템 개편과 DX 기업문화로 변화를 위해 추진하고 있는 정책과 추진방안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

 

1. 추진배경

● 일본은 산업과 기업의 디지털 전환(DX)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왔으나기업의 디지털 전환은 미흡한 상태에 있다고 평가받고 있음

일본의 국가디지털 경쟁력은 하락추세에 있으며 기업의 환경대응빅데이터 활용은 현저히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으며일본 제조기업의 디지털 기술 활용 비율은 67.2%에 불과1)

일본 국가경쟁력(순위) : 25(’18)30(’19)34(’20)31(’21)34(’22)

일본 디지털경쟁력(순위) : 22(’18)23(’19)27(’20)28(’21)29(’22)

디지털 경쟁력 세부지표 인재(50), 디지털 기술 스킬(62), 기업 민첩성(agility of companies) 및 빅데이터 사용분석 지표(63)(’22년 기준전체 63개국)2)

● 디지털 기술을 도입한 일본기업도 비용절감과 생산라인 개선 등 생산성 향상에 집중하고 있는 반면미국 기업은 부가가치 창출과 신규 비즈니스 개발에 디지털 기술을 활용 중(그림참조)

생산성 향상에 집중하는 현상을 일본 기업은 방어적으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는 반면미국 기업은 공격적으로 활용하고 있다고 분석

이에기업의 디지털 기술 활용 방법을 방어에서 공격으로 전환할 필요성이 제기됨

● 우리도 민간기업의 DX 집중 분야는 업무 프로세스 효율화제조공정 스마트화가 대다수로 일본 경제산업성이 추진하는 기업의 자발적 전환정책을 분석은 의미가 있음

한편디지털 기술의 필요성이 강조되던 코로나19 시기에 DX를 시도한 우리 기업은 9.7%에 불과하였고, DX 전담조직을 보유한 기업은 2.1%, 전담인력 보유 기업은 6.2%에 불과한 상황4)

● 일본은 디지털 경쟁력을 회복하기 위하여 전방위적인 디지털 정책을 계획추진하고 있으며민간기업의 디지털 투자 촉진 및 자율적 DX를 유도하는 정책은 기업의 실행력을 추인하고 있다는 점에서 참고할 의미가 있음

본 고는 일본 기업의 자발적자체적 DX를 유도촉진하기 위한 정책의 목적과 내용진행상황나아가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분석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