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AI 교육적 활용에 대한 주요국의 정책 동향 외

  • 등록일2023-04-12
  • 조회수2264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3-04-05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AI 교육적 활용
  • 첨부파일

 

 

AI 교육적 활용에 대한 주요국의 정책 동향

제235호 과학기술&ICT동향

 

◈ 목차

이슈 분석: AI 교육적 활용에 대한 주요국의 정책 동향

주요 동향

1. 과학기술

2. ICT

단신 동향

1. 해외

2. 국내

주요 통계


 

◈본문

Ⅰ AI 교육적 활용에 대한 주요국의 정책 동향1)

1 AI 교육적 활용에 대한 국제기구들의 움직임

 

▶ OECD.AI 정책 관측소2)

○ OECD는 2016년 ‘OECD AI 예측 포럼(AI Foresight Forum)’ 개최를 시작으로, 2019년 2월 ‘OECD 내 AI 전문가 그룹(AIGO)’을 구성하고, 2020년 ‘OECD.AI 정책 관측소(OECD.AI Policy Observatory)’ 홈페이지를 오픈하면서 AI 관련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

- OECD.AI 정책 관측소 홈페이지는 AI에 대한 OECD의 권고 사항을 공유하는 공간으로 2019년 5월 OECD 국가들로부터 승인을 받아 AI 관련 정보를 서비스하고 정책적 제언을 제공

- OECD AI 원칙들은 OECD 국가들뿐 아니라 2019년 6월 G20 정상들로부터도 승인받은 바 있음

- OECD.AI는 OECD 국가를 비롯하여 OECD의 파트너와 다양한 계층의 이해관계자들로부터 관련 정보를 받아 AI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국가 비교 자료를 기반으로 다양한 가공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국가 차원에서 AI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음

 

○ 교육 포함 20개 분야 AI 정보 제공

- OECD.AI가 제공하는 20개 분야는 다음과 같음농업(Agriculture), 경쟁(Competition), 기업지배구조(Corporate Governance), 개발(Development), 디지털 경제(Digital Economy), 경제(Economy), 교육(Education), 고용(Employment), 환경(Environment), 금융보험(Finance and Insurance), 의료(Health), 산업(Industry), 혁신(Innovation), 투자(Investment), 공공 거버넌스(Public Governance), 과학기술(Science and Technology), 사회・ 복지(Social and Welfare Issues), 세금(Tax), 교역(Trade), 교통(Transportation)

- 2016년에는 10개 분야(운송농업금융마케팅 및 광고과학건강형사 사법보안공공부문그리고 증강가상현실)로 구분하고, 2019년 교육을 비롯한 4개의 분야(교육에너지환경우주)를 추가

- OECD.AI가 현재 제공하는 분야를 살펴보면 2016년부터 구분 영역이 변화하는 과정을 거쳤는데 교육의 경우에는 운송농업금융건강환경과 함께 그 구분영역과 명칭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로 관련 정보를 서비스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