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데이터 분석을 통한 인공지능(AI)윤리 이슈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 등록일2023-04-19
  • 조회수2497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데이터 분석을 통한 인공지능(AI)윤리 이슈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KISTI DATA INSIGHT 제27호

 

◈ 목차

CHAPTER 01 연구의 목적

• 배경

• 필요성

• 연구의 목적

CHAPTER 02 개념 및 정의

• 인공지능의 정의

• 인공지능의 발전

• 인공지능 윤리원칙의 필요성 대두

CHAPTER 03 인공지능 윤리 정책 현황

• 국내외 주요 인공지능 윤리원칙 동향

• 인공지능 윤리 원칙 및 정책 현황

CHAPTER 04 데이터 분석

• 데이터 수집

• 데이터 분석 결과

CHAPTER 05 KISTI Data Insight


 

◈본문

Highlights

 

• 세계는 지금 4차 산업혁명의 거대한 문명사적 변화에 직면하고 있으며그 중심에 인공지능(AI)기술이 자리잡고 있음.

- AI는 단순히 기계와 육체노동을 대체하는 수준을 넘어 인간 고유의 지적 기능을 수행하는 수준까지 발전하고미래에는 인간의 능력을 넘어서는 전혀 새로운 기술의 출현을 예고하고 있음.

- AI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파급력의 증가와 활용·확산이 급증하면서 기술의 오남용·알고리즘에 의한 차별·프라이버시 침해 등 인공지능 윤리 이슈가 새롭게 대두

이에 따라 기술적·사회적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응하는 국가·사회 전반의 준비가 필요

국제기구 및 주요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인공지능 개발 원칙과 윤리 준칙에 관한 가이드라인과 정책 및 법·제도가 만들어지고 있으며관련 연구도 크게 증가하고 있음.

우리나라도 정부와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관련 정책과 지침이 만들어지고 있으며나아가 네이버와 카카오 등 대표적인 AI활용 기업들도 자체적인 윤리지침을 제정하여 실천을 선언하고 있는 상황임.


• AI 윤리에 관한 연구와 정책 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Web of Science DB’를 바탕으로 데이터를 추출하였고이를 국가별주제분야별기술키워드별윤리키워드별로 분석을 수행하였음.

- 2017년 121건에 불과한 AI윤리 관련 연구 건수가 2021년에는 1,040건으로 크게 증가하였음.

국가별로 보면 미국이 1,357건으로 AI 윤리 연구를 주도하고 있으며영국중국독일캐나다호주네덜란드이탈리아스페인 등 중국을 제외하고 유럽이 이 분야 연구를 주도하고 있음.

윤리주제에 따른 윤리키워드로 살펴본 결과 국가별로 독특한 특징을 나타내고 있음국가별 연구논문에서 윤리키워드 비중을 살펴본 결과, 10% 이상 차지하는 윤리키워드에 대해 대부분의 국가가 ethics에 집중하는 반면 한국과 싱가폴은 fairness에 집중하는 경향을 모이고 있으며벨기에스위스스웨덴은 다양한 윤리 주제들 다루고 있음.

연구분야별 윤리주제를 살펴본 결과사회과학과 공학 분야에서 중점적으로 다루는 주제가 각기 다른 것으로 나타남.

국가별로 AI 세부기술에 대해 윤리주제를 살펴본 결과대부분의 국가에서 AI, machine learning, deep learning를 주로 다루는 반면한국은 Reinforcement learning와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등 보다 다양한 AI 기술분야를 다루고 있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