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대한민국 기후변화 적응보고서(국문·영문)

  • 등록일2023-04-26
  • 조회수2707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3-04-18
  • 출처
    환경부
  • 원문링크
  • 키워드
    #기후변화
  • 첨부파일

 

 

대한민국 기후변화 적응보고서


◈ 목차

서문

1장 대한민국 기본 정보

2장 기후변화 영향취약성 및 리스크

3장 적응 거버넌스

4장 국가적응계획

5장 적응 국제 협력 및 기여


  

◈본문

서문

 

파리협정과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의 당사국인 대한민국은 파리협정의 결정을 존중하며우리 모두 기후변화로 발생하는 부정적인 영향에 적응해야 한다는 뜻을 국제 사회의 일원으로서 깊이 공감한다대한민국은 이를 위해 전 지구적 적응 목표(Global Goal on Adaptation) 달성에 노력하며기후변화로부터 인류와 지구의 모든 생명체를 보호하며지속 가능한 발전에 이바지할 것이다대한민국은 파리협정 제7조 제1011항과 제1차 파리협정 당사국회의 결정문 9(Decision9/CMA.1)에 따라 작성한 본 문서를 대한민국의 첫 기후변화 적응보고서로써 UNFCCC에 제출한다.

최선의 기후변화 적응방안은 온실가스 감축이다대한민국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으나이미 배출된 온실가스의 잔존으로 발생하는 피할 수 없는 기후변화의 영향에 대응하기 위하여대한민국은 2010년에 최초의 국가적응계획인 국가 기후위기 적응대책을 수립하는 등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노력에 앞장서 왔다.

본 보고서는 이러한 대한민국의 기후변화 적응 노력과 경험을 담고 있다대한민국은 본 적응보고서가 2023년 첫 전 지구적 이행점검의 투입자료로써 활용되고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에 이바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대한민국 기본 정보

 

대한민국은 동경 124도와 132도 사이북위 33도와 43도 사이유라시아 대륙 동쪽북태평양 북서쪽에 위치한 반도 국가로서국토의 4분의 3은 산지이며동쪽이 높고 서쪽이 낮은 경동성(傾動性지형을 가지고 있다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으며 동해안은 수심이 깊고 해안선이 단조로우나서해안과 남해안은 수심이 얕고 복잡하며 많은 섬이 존재한다.

대한민국은 온대성 기후대에 속하며 봄여름가을겨울, 4계절이 모두 나타난다봄과 가을은 맑고 건조하며여름은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고온 다습하며겨울은 대륙성 고기압의 영향으로 춥고 건조하다지난 109년간(1912~2020대한민국의 월 평균 기온 분포는 3.8~29.8이며연 평균 기온은 12.8이다같은 기간 연 평균 강수량은 1,242.6mm장마와 태풍이 발생하는 여름에 연평균 강수량의 50~60%가 집중된다따라서 여름에는 홍수의 위험이 존재하고나머지 계절에는 가뭄의 위험이 상존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