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미국, 미래 팬데믹 대비 정책 외
- 등록일2023-05-24
- 조회수2389
- 분류정책동향 > 생명 > 보건의료학
-
자료발간일
2023-05-22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팬데믹 대비 정책#미국 정책
미국, 미래 팬데믹 대비 정책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471
◈ 목차
01 포커스
미국, 미래 팬데믹 대비 정책
02 제약·의료기기·화장품
미국 FDA, CDI 재발을 예방하는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승인
캐나다, 생명과학 분야 벤처캐피탈 투자를 통해 일자리 창출과 미래 솔루션 개발
유럽 대형 제약회사, 연말 M&A 증가 전망
일본 수술지원 로봇 시장, 본격적인 경쟁으로 가격하락 기대감 상승
중국 유전성 망막질환 치료제, FDA가 희귀의약품으로 지정
Sonic Healthcare, 독일에서 두 번째로 MLD社 1억 8,000만 달러에 인수
인도, 뷰티와 명품 럭셔리 브랜드를 위한 약속의 땅으로 자리매김
Sarepta 유전자 치료법, FDA 정밀 검토 직면
03 의료서비스
미국, 행동 건강 인력 및 서비스 접근 기회의 부족
튀르키예의 트라브존(Trabzon), 의료관광의 허브로 부상
일본, 의료기관 활용한 인바운드 수요 지방유치 가능성 모색
中 둥마이왕, 2023년 중국 구강의료서비스 동향 분석보고서 발표
나이지리아 BMC,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을 통한 아웃바운드 의료관광 억제
중동·아프리카, 의료관광 확대를 위한 주요 사례 분석
세계보건기구, BPPL 개정을 위한 세부 방법론 발표
WEF의 가치기반 헬스케어, 비용 효율적이고 사람 중심적인 의료 모델 구현
04 디지털 헬스케어
미국의 AI 기반의 의료 플랫폼, 80% 이상의 정확도로 당뇨병 위험 개인을 식별
영국 NHS App, 비응급 선택적 치료 적체 해결의 주요 방안
스위스 Domo Health, 에너지 업체와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파킨슨병 모니터링 앱 Parky, 디지털 치료제 플랫폼에 합류
中 CAICT, 2023년 중국 원격의료 동향 분석보고서 발표
싱가포르, 혁신 정밀 안구건강센터 설립
UAE의 Presight AI와 G42 Healthcare, MOU 체결
의료 산업이 메타버스에 합류하는 것을 주저하는 이유
◈본문
미국, 미래 팬데믹 대비 정책
미국 조지타운대학교 정책 싱크탱크인 안보신기술센터(Center for Security and Emerging Technology, CSET)는 미국의 전염병 대비 정책을 위한 프레임워크 정책 보고서를 발간하여 향후 팬데믹(Pandemic) 가능성이 있는 바이러스 병원체 계열에 대한 미국 내 준비상황을 평가하고 미국 정부가 미래의 팬데믹에 대비하기 위해 취할 수 있는 조치에 대한 권장 사항을 제공 |
[1] 개요
• 세계화와 도시화로 인해 인간, 교통 시스템, 유틸리티, 건물 및 기타 개발이 자연으로 확산됨에 따라 동물 서식지가 잠식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감염병 발생 빈도가 높아지고 다양한 형태의 팬데믹 위협이 증가
• 미국은 이러한 미래 위협에 대비하여 기초 과학 연구에서부터 승인된 치료법에 이르기까지 의료대책(medical countermeasures, MCM) 개발 파이프라인의 구축을 시급한 과제로 지목
• CSET는 보고서를 통해 팬데믹 가능성이 있는 바이러스 병원체 계열에 대한 대비를 평가하고 미국 정부가 미래 발생가능한 팬데믹에 대비하기 위해 취할 수 있는 조치에 대한 권장 사항을 제공
[2] 향후 발생 가능한 바이러스 군
• 팬데믹을 유발하는 바이러스는 아직 출현하지 않았지만, 팬데믹 유발 특성을 공유하고 향후 팬데믹 바이러스를 생성할 가능성이 있는 7개의 바이러스 계열(관련 바이러스 그룹)을 확인
• CSET는 개별 바이러스 대신 팬데믹 가능성이 있는 바이러스 병원체(viral pathogens of pandemic potential, VPPPs) 계열을 인식하고 우선순위를 정할 경우 이에 대하여 미국 정부가 보다 효율적으로 잘 대비할 수 있게 할 것이라고 분석
• 이러한 접근 방식을 통해 미국 정부 관리와 연구원들은 미래의 위협을 예측하고 광범위한 의료대책(MCM)을 개발할 수 있으며, 위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초 및 응용 연구의 수행이 가능
■ VPPP에 대한 연구결과
• CSET는 VPPP에 대한 미국의 팬데믹 대비를 평가하기 위해 연구 간행물, 임상 시험 및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 의료 대책 등을 조사
• 현재 미국은 의료대책(MCM) 부족과 제조 공급망의 취약성이라는 두 가지 요인으로 인해 팬데믹에 대응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으며, 사전 승인된 의료 대책과 이를 신속하게 생산하고 배치할 수 있는 능력이 갖추지 않을 경우 미국 시민들은 비상 시 필수 치료법을 사용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
• VPPP의 7개 제품군 모두에 대해 43개의 MCM만이 승인되었으며 여기에는 백신(vaccines), 저분자 약물(small-molecule drugs) 및 항체 요법(antibody therapies) 등이 포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