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한-러 보건의료 협력 현황 및 전망

  • 등록일2023-05-26
  • 조회수2537
  • 분류정책동향 > 생명 > 보건의료학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한-러 보건의료 협력 현황 및 전망

보건산업브리프 Vol. 378

 

◈ 목차

I . 서론

우크라이나 사태

미국의 대러시아 제재 현황

-러 교역 및 보건의료 교류 현황

-러 보건의료 협력 전망


 

 

◈본문

I. 서론

 

◎ 지금으로부터 1년여 전인 2022년 2월 24러시아의 무력 침공으로 인해 러-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했다초반의 예상과는 다르게 장기화되고 있는 이번 전쟁은 향후 국제사회의 질서 재편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 한편, 2009년 5월 1정부의 차세대 신성장동력 산업’ 중의 하나로 Global Healthcare 산업이 선정되었다이후치료 목적으로 한국을 방문하는 러시아 환자들이 급증하는 등 우리나라와 러시아는 보건의료 분야에서 긴밀한 협력을 10여 년간 이어오고 있다-우크라이나 전쟁이 지속되고 있는 지금 시점에 우리나라 국제의료(외국인 환자 유치 및 의료기관 해외 진출 등사업에 있어 주요 파트너국인 러시아와의 보건의료 교역 및 교류·협력 현황앞으로의 발전 전망에 대해 분석해 볼필요가 있다.

 


II. 우크라이나 사태

 

◎ 2014년 3우크라이나의 영토였던 크림반도를 러시아가 강제로 병합했다우크라이나는 강력하게 반발했고국제사회도 강제 합병을 인정하지 않았다이후크림반도와 마찬가지로 친러 성향이 강했던 우크라이나 돈바스1) 지역에서는 러시아와의 합병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졌고결국 친러 반군과 우크라이나 정부군 사이에서 내전이 발발하는 등 크림반도 강제 병합 이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관계는 악화일로를 걸었으며결국 2022년 2월 양국간 전쟁이 발발했다.

 

◎ 크림반도는 구소련 시절 러시아에서 우크라이나로 편입된 친러 성향이 강한 지역으로 양국 간에 복잡한 정치적경제적군사적 이해관계가 얽혀있는 곳이다민족구성을 보면 러시아계 60%, 우크라이나계 20% 타타르계 15% 및 그 외의 소수민족으로 구성되어 있다.2) 러시아계가 다수를 차지하는 만큼, 2014년 러시아와의 합병에 관한 주민투표 시 90% 이상의 주민이 찬성하는 등 크림반도의 주민들은 자신들의 국적 변경에 큰 거부감이 없었다.3)

 

◎ 하지만 유엔에서는 2014년 3월 27우크라이나 크림공화국의 러시아 합병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결의안을 발표하여는데당시 100개국이 결의안에 찬성하였고러시아북한벨라루스 등 11개국4)만 반대했다.5) 현재까지도 전 세계 대부분 국가에서는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 그러던 중, 2021년 10월부터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와의 국경 주변에 군사 물자 및 병력을 배치하는 등 전쟁 위기를 고조시켰다.6) 하지만 이같이 첨예한 상황 속에서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2022년 2나토(NATO) 가입 의지를 표명하며 러시아를 더욱 자극했고,7) 결국 러시아는 2022년 2월 24일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력 침공을 감행한다.8)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