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영국 유전기술(정밀육종)법 제정과정 및 주요 내용 검토

  • 등록일2023-05-30
  • 조회수2625
  • 분류정책동향 > 생명 > 생물공학

 

 

영국 유전기술(정밀육종)법 제정과정 및 주요 내용 검토

KBCH 브리핑(2023-10)

 

◈본문

 브리핑은 2023년 3월 제정된 영국 유전기술(정밀육종)의 제정 배경절차 및 주요내용을 검토하고시사점을 도출하였음

※ 주요 출처: Sarah Coe(2023), “Genetic Technology (Precision Breeding) Act 2023,” House of Commons Library

작성자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우태민 박사


 

검토배경


□ 영국은 브렉시트 이후 농업 및 과학 혁신을 장려하고, “지속가능하고 율적인 농업 및 식품생산을 촉진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의 잠재력 발휘하도록 하기 위해 2022년 5월 25일 유전기술(정밀육종법안(이하 정밀육종법()) 하원에 제출하였음

ㅇ 법안은 하원과 상원에서의 독회위원회 논의보고수정사항 검토 등의 절차를 거쳐 약 10개월 만인 2023년 3월 23일 왕실의 재가를 받아 최종적으로 채택되었음


□ 본 브리핑은 각국에서 유전자가위기술을 포함한 신육종기술(NGT) 대한 규제를 완화하는 방향으로 법·제도를 개정하고 있는 가운데영국의 유전기술(정밀육종)의 제정 배경과 절차주요 내용을 분석하여 최신 규제 동향을 파악하고국내 유전자변형생물체법 개정 및 절차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주요 개념 및 기존 규제 현황


□ 정밀육종(Precision Breeding)의 정의

ㅇ 유전기술(정밀육종법안은 정밀육종기술로 개발된 생물체와 관련된 규제체제를 변경하는 조치가 담겨 있으며정밀육종기술에는 유전자가위기술이 포함됨

법안과 함께 영국 환경식품농무부(DEFRA)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정밀육종은 전통육종 및 자연적 과정을 통해서도 발생할 수 있는 유익한 특성을 생산하기 위한 유전적 변화를 만들 수 있는 기술로 정의됨

법안의 제1항에 따르면정밀육종으로 분류되기 위해서는 생물체의 유전체가 현대생명공학기술을 사용하여 변경되었으며그러한 변경이 안정적이어야 하며유전체의 모든 특징이 전통육종이나 자연적 변형을 통해 발생할 수 있어야 함

 

□ 정밀육종의 기존 규제 현황

ㅇ 정밀육종 법안이 제출되기 전에 유전자편집 및 기타 새로운 정밀육종기술에 대한 규제는 유전자변형생물체(GMO)에 적용되는 규제체제에 따라 규제되었음

 GMO에 대한 EU 규정(Directive 2001/18/EC)은 현재 영국에서 계속 적용되고 있음

EU의 규정은 영국에서 1990년 제정된 환경보호법(EPA)을 통해 적용되어 왔으며, EU의 GMO 정의를 사용하고 있음

ㅇ 정밀육종 법안의 영향평가(IA) 과정에서 GMO의 재배 및/또는 판매 승인을 받기 위한 복잡한 과정(특히시험재배), 위험평가공개협의, 정보게시 등 상업화 절차시판 후 모니터링 및 평가계획 등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졌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