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의료데이터의 활용과 정책 시사점

  • 등록일2023-06-13
  • 조회수2903
  • 분류정책동향 > 생명 > 보건의료학
  • 자료발간일
    2023-05-31
  • 출처
    산업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의료데이터#시사점
  • 첨부파일

 

 

의료데이터의 활용과 정책 시사점


◈ 목차

⑴ 서론

⑵ 보건의료데이터의 수집-유통-활용 현황

⑶ 국내 보건의료산업에서의 데이터 활용 실태

⑷ 보건의료데이터 관련 국내 정책 현황

⑸ 결론 및 시사점


 

 

◈본문

우리는 데이터 경제 시대에 살고 있다데이터는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새로운 서비스 창출 및 신산업의 핵심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정부는 데이터가 가진 가치에 주목하고 그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산업의 육성과 관련 규제를 개선·혁신하는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수많은 데이터 중에서도 의료데이터는 정보의 민감성데이터의 수집과 생산이 이루어지는 영역데이터의 정형화 정도 등의 특성으로 인하여 분절되어 수집·관리되고 있어 분석과 활용이 쉽지 않다데이터를 연계하여 활용하기 위하여 국가 차원에서 플랫폼을 구축하고 연계 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나 기업들은 제도적 제약과 폐쇄적인 유통구조로 인하여 고품질의 데이터 수집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어 산업적 활용이 저조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데이터의 활용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양질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안전하게 유통·관리하여 데이터 간 결합을 통해 의미있는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데이터 가치사슬 전(단계에 대한 중장기적인 정책 지원 제도가 요구된다.

 

1. 서론

 

보건의료산업에서 데이터가 가지는 의미는 매우 크다보건의료의 목적인 건강 보호 및 증진질병 치료를 위한 접근 방식이 기술과 데이터의 결합으로 빠르게 변하고 있다데이터를 분석하여 개인 맞춤형 의료를 제공하고의료기관의 프로세스를 최적화하며고품질의 의료 기기 및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점점 많은 의료기관과 관련 기업들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서비스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금융이나 유통 등 타 업종과 비교하면 데이터의 수집부터 거래활용까지의 역량이 다소 낮다이에 정부는 보건의료데이터가 가진 본질적 가치의 측면뿐만 아니라 산업적 가치에 주목하고 데이터 역량 확보를 위해 적극적으로 힘을 쏟고 있다의료데이터를 안전하게 가공하고 활용하는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데이터 활용을 위한 초석을 마련하였으며보건의료빅데이터의 플랫폼사업국가 통합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사업 등 공공데이터를 통합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국가 주도 데이터 구축·활용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또한 의료데이터 중심병원사업 등을 통해 민간 의료 기관의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노력도 진행 중이다그동안의 노력들로 보건의료 분야에 대한 데이터 활용 인식이 확산되었지만 해결해야 할 문제가 여전히 남아있다따라서 본고에서는 현재 국내 의료데이터의 수집과 유통활용 현황을 살펴 보고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산업·사회 현안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써 안전하게 의료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한 정책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