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엠폭스(원숭이두창)의 효과적 관리 방안: 역학조사 경험과 국외 정책 검토
- 등록일2023-06-16
- 조회수2473
- 분류정책동향 > 생명 > 보건의료학
-
자료발간일
2023-06-08
-
출처
질병관리청
- 원문링크
-
키워드
#원숭이두창#엠폭스#역학조사
- 첨부파일
엠폭스(원숭이두창)의 효과적 관리 방안
역학조사 경험과 국외 정책 검토
◈ 목차
서 론
엠폭스의 국내ㆍ외 대응
1. 2022–2023년 엠폭스 유행의 특성
2. 국내 엠폭스 확진 환자 역학조사 경험 및 고찰
3. 효과적인 대응: 국외 사례
결 론
◈본문
초 록
전 세계적으로 지속되고 있는 엠폭스 유행은 주로 성매개감염병 전파의 양상을 띄며 특히 남성과 성관계를 하는 남성이 감염에 취약한 경향을 보인다. 대한민국은 현재까지 50여 명의 환자만이 보고되었으나 향후 추가 확산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국내 엠폭스 환자 역학조사 경험과 국외 역학조사 방침을 고려할 때, 성매개감염병 역학조사에 준하여 환자의 권리를 보호하며 적절한 면담 기법을 활용하여 대응한다면 전파 차단에 적극 협조 및 참여를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미국, 영국 등 성공적인 유행 관리 사례를 고려하면 엠폭스 감염 취약집단의 특성을 고려한 역학조사 원칙과 예방관리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 향후 국내 유행 확산 시에는 환자 및 감염 취약집단에 대한 부적절한 낙인과 차별을 예방하고, 조사 과정에서 대상자를 존중하며 질병 예방관리에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서 론
엠폭스(mpox, 원숭이두창[monkeypox]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감염병)는 인수공통 감염병으로 주로 서아프리카 및 중앙아프리카 열대우림 지역에서 인체 감염증 발생이 보고되어 왔다[1]. 영장류 또는 설치류와의 접촉이 주된 인체 감염경로로 알려져 있으며, 이 외에도 사람 간 밀접접촉이나 오염된 물질과의 접촉에 의해 감염되는 사례가 보고된 바있다. 하지만 2022년 5월부터 일부 비풍토병 국가에서 동물과의 접촉력이 없는 다수의 엠폭스 환자가 보고되어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국제 공중보건 비상사태(public health emergency of international concern, PHEIC)를 선언하였고, 2023년 4월 현재까지 이를 유지하고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